중국의 역사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삼국지와 공자에 대해 알아야 된다고 우리는 흔히들 이야기한다. 그만큼 이 둘이 중국역사의 과거, 현재, 미래까지 알 수 있게 해주는 철학인 동시에 정치, 사회, 경제 등 모든 면에서 여러 가지 가르침을 주기 때문이다. 그리스에는 소피스트들이 있었다면 춘추시대 중국에서는 제자백가들이 있었다. 춘추시대의 혼란기에 나타난 여러 가지 제자백가 사상의 학문들은 그 혼란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자 하는 중국인들의 지혜로운 노력이라 생각되어진다.
여기에서 나는 제자백가의 사상을 공자를 선두주자로 하는 유가의 사상을 배제하고 그 외의 사상, 즉 도가, 법가, 묵가, 명가, 병가, 농가, 종횡가, 음양가, 잡가에 대해 알아보고 동양사상에서의 제자백가의 위치에 대해 이야기 해 보겠다.
제자(諸子)란 말은 제선생이란 뜻이고, 백가란 수많은 파별을 의미한다.
춘추 말에서 전국시대에 걸쳐 출현한 독창적인 사상을 지닌 많은 학자 들로 춘추·전국시대에 새로운 사상을 창조하고 문화적 업적을 이룩하 여 동양사상의 기반을 마련
B.C 11세기경에 건국된 周왕조는 본래 중앙집권체제하에 있었으나, 이에 실패하여 혈연에 입각한 宗法的封建制度를 시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전국시대에 이르러, 실질적으로는 제후의 힘이 강해져서 유력한 신하가 군주를 능가하게 되는 이른바 하극상의 현상을 낳게 된다. 더욱이 약육강식에 의한 제후들 상호간의 실력다툼이 격화됨으로써 끝내는 군웅할거의 상태에 돌입하게 되는 데, 이로써 春秋戰國의 시대-기원전 770년에서 452년까지를 春秋시대, 기원전 453년에서 秦이 천하를 통일한 기원전 221년까지를 戰國시대라고 부른다.- 를 맞이하게 된다. 이 시기는 비록 정치적으론 대혼란기이지만, 소위 중국사상의 개화결실의 시기라 보아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철학적으로는 황금기를 맞이하게 된다. 諸子란 이 시대의 사상가들을 일컫는 것이며, 그 학파들을 일컬어 百家라 하였다. 대략 그 수가 얼만큼 이었는지를 대강 짐작하게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