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비즈니스 HUB 추진문제] 동북아비즈니스거점유형성택,정책방향,추진과제
- 최초 등록일
- 2013.11.11
- 최종 저작일
- 2013.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비즈니스 거점 유형선택
1. 주요 비즈니스 거점의 유형
1) 지역적 포괄성
2) 산업적 포괄성
2. 한국의 유형 선택
1) 한국의 현 위상 및 동북아 비즈니스 거점 전망
2) 한국의 비즈니스 거점 유형
Ⅱ. 기본적 정책방향
1. 주요 비즈니스 거점의 시사점
2. 한국의 기본적 정책방향
Ⅲ. 주요 추진과제
1. 경제자유구역법의 의의 및 한계
2. 우선정책과제
본문내용
1. 비즈니스 거점 유형선책
(1) 주요 비즈니스 거점의 유형
1) 지역적 포괄성
홍콩, 싱가포르, 상해, 네덜란드, 아일랜드 중 네덜란드, 아일랜드 및 싱가포르는 국가이며 홍콩은 특별행정구 그리고 상해는 도시이다. 싱가포르가 도시국가임을 감안할 때, 특정 지역이 아닌 국가 전체가 비즈니스 거점인 것은 네덜란드와 아일랜드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네덜란드의 경우에도 비록 어느 특정 지역을 지정하여 제도적으로 우대하는 정책을 펴고 있지는 않으나 물류거점이란 특성상 공항과 항만 지역에 집중적인 인프라 및 배후시설에 투자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아일랜드도 더블린 및 인근 동부 지방에 외국인 직접투자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고 금융 관련 투자의 경우 더블린에 위치한 국제금융서비스센터(IFSC)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지역균형개발을 위해 지역적으로 균형된 투자유치를 주요 과제로 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비록 국가 전체가 비즈니스 거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경우에도 적어도 초기단계에서는 결국 특정 지역 위주로 비즈니스 거점화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산업적 포괄성
현재 산업면에서 가장 포괄적인 비즈니스 중심지는 도시국가인 싱가포르이다. 중계무역항에서 출발한 싱가포르는 제조업에 주력한 후 현재 물류, 금융을 비롯한 각종 비즈니스 서비스에서 동남아 혹은 동아시아에서 거점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이 외에도 국가정책으로 생의학, 전자 ․ 정밀공학 및 화학 등에서 거점이나 R&D 센터를 추구하고 있으며 아울러 교육 및 의료 부문의 일반 서비스 부문에서의 거점도 지향하고 있다.
여러 면에서 싱가포르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 홍콩은 경쟁력을 잃은 제조업은 사라지고 있고 서비스 부문에만 특화하고 있어 싱가포르와 대조를 이룬다. 이는 싱가포르와는 달리 홍콩은 독립된 국가가 아니라는 점, 싱가포르가 강력한 정부 주도의 정책을 펴는데 반해 홍콩은 시장에 의존한다는 차이 및 홍콩은 생산기지 및 시장인 중국대륙에 인접해 있다는 사실 등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네덜란드는 전반적인 비즈니스 친화적 환경조성에 노력하고 있으나, 거점화 면에서는 유럽의 물류거점으로 특화된 후 이를 토대로 종합적인 서비스 거점화를 추구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