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보험의 종류와 약관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11.09
- 최종 저작일
- 2013.11
- 21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000원
소개글
항공보험의 종류와 약관 분석 PPT 입니다.
목차
1.항공보험 개요
2.항공보험 종류
2-1. 기체 보험
2-2. 배상책임 보험
2-3. 기타보험
3.약관 분석
3-1. 기체보험 약관
3-2. 바르샤바 체제와 몬트리올 협약이란?
3-3. 배상책임보험
4.결론 도출
5.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 항공보험(Avitation Insurance)이란?
비행기 또는 항공운송에 관련하여 생기는 제 위험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보험의 총칭
항공보험은 일종의 강제보험으로서 항공운송사업의 면허를 받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운항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하여 보험 가입을 의무화 하고 있음.
○ 항공보험의 성립 배경
세계가 점차 세계화 되어가고 기술이 발전하여 항공기가 대형화 되어가면서 항공운송이 국제운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위험 또한 위험의 규모가 커지고 빈도가 잦아짐에 따라 이러한 위험에 대비하고자 항공보험이 성립하게 되었다.
최초의 항공보험은 1912년 런던의 Lloyd’s사가 발행한 항공보험증권.
○ 항공보험의 특성
항공보험의 국제성
항공보험 인수의 공동성
항공보험의 기술성
항공보험의 강제성
<중 략>
○ 몬트리올 협약(Montreal Convention)
별개의 독립된 협약형식
바르샤바 체제내의 협약들 중 일부 미발효된 의정서들이 있어 당사자들에게 적용하기가 복잡하게 되어 있으므로 별개의 독립된 협약의 형태로 성립하였다.
바르샤바 체제하의 기존 협약과의 관계
몬트리올 협약 가입국간의 국제운송이나, 가입국 안에서의 국제운송의 경우 기존의 어떤 협약보다도 몬트리올 협약이 우선하여 적용된다(몬트리올 협약 제 55조)
몬트리올 협약의 가입국과 몬트리올 협약을 비준하지 아니한 기존 협약 가입국 사이의 운송은 몬트리올 협약이 적용되는 국제운송은 아니다.
<이하생략>
참고 자료
이강빈, “신 바르샤바 체제하의 국제항공화물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무역상무연구 제20권 pp. 213-329, 2003, 한국무역상무학회
New Warsaw Convention : Montreal Convention 1999 소개 – 김종복(2003)
몬트리올조약에 있어 국제항공여객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 김두환(2003)
신 바르샤바 체제하의 국제항공화물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 이강빈(2003)
항공물류기업의 지속경영을 위한 리스크 관리 연구 :배상책임을 중심으로 – 곽봉환, 강동윤(한국무역연구원,2010)
항공보험에 관한 고찰 – 김학만(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