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교육론, 북한의 통일논의
- 최초 등록일
- 2013.11.06
- 최종 저작일
- 2013.09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북한의 대남혁명전략과 통일방안
가. 북한의 대남혁명전략
1. 한반도 안보환경의 변화
1) 냉전기의 한반도 안보환경
2) 탈냉전기의 한반도 안보환경
2. 대남인식과 전략 및 전술
1)대남인식
2)대남전략 및 전술
나. 북한의 통일방안
Ⅱ. 군정기와 50년대 북한의 통일정책 전개과정
가. 군정기
나. 50년대
본문내용
서론
냉전의 종식과 더불어 국제정치질서는 급변하고 있고 한반도의 안보환경 또한 탈냉전시대를 맞아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한반도의 안보환경과 북한의 대남전략 및 시대별 통일방안, 그리고 그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론
가. 북한의 대남혁명전략
1. 한반도 안보환경의 변화
1) 냉전기의 한반도 안보환경
냉전기는 194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동서관계가 양극구조를 형성했던 시기를 의미한다. 냉전시대의 구조적 특징은 미국과 소련의 정치, 군사적 경쟁과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이념적 대결, 유럽의 분열, 그리고 구제체제의 중심에서 갈등의 주변확산 등이다.
1970년대 이전 동북아시아의 지역구조는 양극구조로 남방 삼각관계(미국-일본-한국)와 북방 삼각관계(소련-중국-북한)간의 대립관계였다. 그러나 중국과 미국의 화해, 중국과 소련의 분쟁으로 인해 북방 삼각관계가 와해되고 동북아의 국제체제는 양극구조에서 4강(미국-소련-일본-중국)의 균형적 구조로 변경되었다. 즉 1970년대와 1980년대는 소련의 동북아시아에서의 패권구조를 견제하기 위한 미국?중국?일본의 반(反) 소 연합적 성격이 강한 3+1 체제라고 볼 수 있다.
2) 탈냉전기의 한반도 안보환경
1991년 구소련의 붕괴로 인해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냉전시대의 양극구조는 종결되었다. 구소련 붕괴 이후 현재 미국만이 유일한 초강대국으로 세계질서를 주도하고 있고 중국, 러시아, 일본, 유럽국가들이 강대국으로서 국제문제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동북아시아 지역 또한 미국이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역내 강대국들은 안정의 유지에 힘쓰고 있다.
참고 자료
김동근 외, [남북한 비교정치론], 형설출판사, 1998
김동근 외, [북한신론], 대왕사, 2000
통일부 통일교육원 연구개발팀, [통일문제이해], 통일부, 2006
통일부 통일교육원 연구개발팀, [북한이해], 통일부, 2006
양영식, [통일정책론], 박영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