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단행본
· 권영성, 1988, 『헌법학원론』, 법문사.
· 김호진, 1997, 『한국정치체제론』, 박영사.
· 안해균, 1988, 『한국행정체제론 - 정치·행정분석의 체제적 접근』, 서울
· 대학교출판부.
· 양성철, 1994, 『한국정부론』, 박영사.
· 이상우, 1984년 2월, "장면 총리의 비극", 『신동아』.
· 이용원, 1999, 『제2공화국과 장면』, 범우사.
· 장면박사회고록, 1967,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남우당.
· 장일강, 6월, "허정 과도정부의 성공요인", 한국논단.
· 8월, "허정 과도정부의 경제정책", 한국논단.
· 정윤재, 심지연, 김영수, 2001, 『장면, 윤보선, 박정희 - 1960년대 초
· 정치지도자 연구』, 백산서당.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현대사회연구소 편, 1998, 『1960년대의 전환적 상황과
· 장면정권』, 도서출판 오름.
· 한승조, 1992, 『리더쉽이론에서 본 한국정치의 지도자들』, 대정진.
· 한승주, 1983, 『제2공화국과 한국의 민주주의』, 종로서적.
· 1995, 『현대한국정치론』, 법문사.
· 함성득, 1999, 『대통령학』, 나남출판사.
· 허 정, 1979,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 James D. Barber, 1977, Presidential Character , Englewood Cliffs,
· New Jersey : Prentice hall
· Myron Weiner, 1962, The Political of Scaricity Public Pressure and
· Political Response in India , Chicago : Univ. of Chicago Press.
· Tsurutani Taketsugu, 1974, The Politics of National Development
· : Political Leadership in Transitional Societies , London : Chandler
· Publishing Co .
· 2. 논 문
· 손희숙, 1990, "第2共和國의 政治的 리더쉽에 관한 연구 : 張勉을 中心으로",
· 숙명여대 석사논문.
· 오명호, 1998, "제2공화국과 민주적실험", 『한양대 사회과학논집』,제17집.
· 정주신, 1997, "한국에서 과도정부의 정권이양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 대학원 고황논집』, 제21집.
· 조정규, 1998, "제2공화국 정치체제의 성립과 붕괴에 관한 연구 : 장면의
· 리더십을 중심으로" , 경남대 석사논문.
· 최정원, 1990, "過渡政府의 特徵과 政治遂行實績間의 關係硏究 : 許政 過度
· 政府와 崔圭夏 過度政府의 比較 ", 연세대 석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