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의 소화흡수능력>
1. 위
2. 소장
3. 점막
4. 신장
<영아의 면역능력 및 모유영양와 인공영양>
1. 영아의 면역상태
2. 영아와 모유영양 및 인공영양
1) 모유
(1) 모유속에 들어 있는 항감염물질
(2) 항알레르기 이자
2) 인공영양
3) 혼합영양
4) 모유와 우유의 화학적 조성의 차이
본문내용
1. 위
영아의 위장은 출생 후 계속 성숙과정을 거친다. 출생 직후 신생아의 위 용량은 10∼12ml 정도 밖에 되지 못하나, 1년이 되면 그 용량이 200ml로 늘어난다. 출생 직후에는 위의 pH가 약 알칼리성을 띠나 24시간만 지나면 위산 분비가 시작되어 강산성을 띠게 되어, 3세된 아기의 위산도와 비슷하게 된다. 그후 산도는 점차 감소하여 처음 몇 달간은 어른의 위산도보다 더 낮은 수치를 보인다.
영아가 섭취한 식품의 양과 조성에 따라 소화산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이 다른데, 모유는 단백질이 많은 우유보다 빨리 비워지며(평균 13시간), 우유는 평균 16시간으로 오래 머문다.
2. 소장
생후 초기에 아기의 장관에서 분비되는 장액은 여러 가지 영양소를 가수분해 할 수 있는 다양한 효소작용을 지니고 있으며 신장에 대한 소장의 길이는 성인에 비하여 길다.
1) 단백질
신생아 장액의 단백질 농도는 성인과 거의 비슷하여, 어느 정도 단백질을 소화할 수 있으나 양적으로는 제한을 받는다. 즉 신생아는 하루에 체중 1kg당 1.95g의 단백질을 완전히 소화할 수 있고, 4개월된 영아는 하루에 체중 1kg당 3.75g의 단백질을 소화할 수 있다.
① 위의 단백질의 소화는 cathepsin에 의하여 pH2∼6정도에 성립된다.
② 췌장 효소의 활성도는 출생 직후에는 적으며 출생 1년 후에 성인치에 도달한다.
③ 장의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도는 출생 1년후에 성인치에 도달한다.
참고자료
· - 건강과 영양, 홍순명 외 3인 저, 울산대학교 출판부, 1994. 3. 15.
· P.196∼198, 253∼256
· - 생애주기 영양학, 김정숙 외 6인 저, 광문각, 1998. 2. 20.
· P. 155∼157
· - 가족영양학, 김숙희 외 5인 저, 신광출판사, 1994. 5. 15.
· P. 225 ∼228
· - 영양과 건강, 김대진 외 7인 저, 유한문화사, 2000. 3. 10
· P. 273∼275
· - 생명과학을 위한 생화학, 채기수 외 5인 저, 지구문화사, 1997. 8. 10.
· P. 499∼501
· - 영양과 건강(현대인의 생활영양), 문수재 저, 신광출판사, 1995. 2. 25.
· P. 157∼159
· - 영양학(식이요법), 성낙응 저, 수문사, 1984. 1. 5.
· P. 136∼137, 142∼143
· -http://www.lalecheleague.org
· -http://www.sshosp.co.kr/health/sig4/milk.ht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