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향찰
- 최초 등록일
- 2003.04.13
- 최종 저작일
- 2003.04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향찰
1)향찰이란?
2)명칭의 유래
3)이두란?
4)향찰과 이두의 관계에 대한 견해
2. 향찰문학
1) 시기
2) 의의
3) 가치
4) 한계점
3.대표적인 향찰문학 - 향가
1) 발생과 소멸
2) 국문학상의 의의
3) 국문학상 위치
4) 향가의 명칭
5) 표기방법 - 향찰
6) 형식
7) 내용
8) 작가
9) 미의식
10) 현전 작품
11) 향가집
본문내용
1.향찰
1)향찰이란?
한자의 음과 석(釋)을 빌려 국어문장 전체를 적은, 신라시대의 발달한 표기법이다. 가요 특히 향가의 표기에 이용되었기 때문에 향가식 표기법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고유명사 표기법이나 이두와 구별하여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향찰이 명사·동사를 비롯한 국어문장 전체를 표기하였다고는 하여도 차자(借字) 방법에 있어서 의미부는 새김(釋)을, 형태부는 음을 빌리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이두와 원리적으로 같다.
2)명칭의 유래
향찰이란 명칭은 <균여전> 역가공덕분(譯歌功德分)의 최행귀의 서문에 비로소 나타난다. 이 서문은 균여대사와 같은 시대의 최행귀라는 인물이 균여대사가 지은 <보현십원가>를 한시로 번역하면서 쓴 것으로 향찰은 문맥상으로 보아 향언, 즉 신라어로 적은 문장을 가리킨 것으로 해석된다.
참고 자료
1. 조동일 <노래의 새로운 모습>, <<한국문학 통사 1>> 지식산업사, 1994
2. 조동일 <향가의 새로운 모습>, 위의 책
3. 김동욱 <향가의 하위 장르>, <<신라 시대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74
4.김학성 <향가의 장르사적 연구>, <<한국 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학교 출판국, 1980
5. 최철, <향가의 문학사적 성격>, <<한국문학 연구 입문>>, 지식산업사, 1982
6.이동근 <사뇌가의 해석>,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7.황패강 <신라 향가 연구>, <<국문학 논집 7, 8>>,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75
8.http://my.dreamwiz.com/ohmyfree/gofeon/godaetaga/hyanggalfsf.htm
http://my.netian.com/~woon9/start.htm
등 여러 인터넷 향가 사이트
9.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 25권 p23~24, p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