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서론
제 2장: 본론
제1절. 서양과 동양의 제국
제2절. 민간이 주도하는 역사와 국가가 주도하는 역사
제3절. 동양과 서양
1. 사상적 측면
2. 전체적 비교
제4절. 서구의 근대화
1. 경제적 팽창과 자본주의의 태동
2. 서구의 정치적 변화-절대주의의 등장
3. 제국주의
(가) 개념
(나) 형성과 역사적 단계
제5절. 아시아의 근대화
1. 중국
1) 중국의 붕괴와 사회적 변화
2) 제국주의와 중국
3) 근대화와 유교
2. 일본
1) 정치적, 사회적 변화
2) 일본 근대화의 특징
3장 결론
본문내용
들어가면서
고대문명이 발생한 이래 지구상에는 몇 개의 문화권이 존재하였다. 이들은 서로 복잡한 교섭관계를 가지며 존속해 왔다. 각 문화의 뛰어난 점이 흡수되어 독특하게 발전되고 진귀한 물자가 활발하게 수송되었으며 독특한 기술이나 발명도 전파되었다. 각각의 문화권은 상호보완 함으로써 비로소 풍부한 내용을 지니게 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일찍이 황하와 인더스강 유역의 찬란한 문명을 소유했던 동양사회는 내재적, 외재적인 요인에 의해 근대화의 대열에서 낙오되고 말았다. 동양에 대한 서구의 지배는 19세기의 제국주의적 침탈로 가시화되기 시작하여 20세기에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그리고 사회적인 영역에까지 그 범위가 확산되는 신제국주의적 경향을 띠고 있다. 봉건적인 신분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진입기에 심각한 타격을 입은 동양사회는 이후 끊임없는 후유증에 시달려야 했으며, 축적된 역량이 부족한 탓에 21세기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에 있어서도 서구에 뒤져있는 실정이다. 분명 지난 19세기와 20세기는 서구와 아시아가 지배와 피지배의 대립관계 놓이게 되었다. 여기에서 대립은 경제력의 싸움에 기인하여, 정당성을 위해서 종교의 포교, 인권, 국권에 대한 시비를 걸어왔다. 여기에 서구의 이데올로기 전파에 따라 일본의 제국주의 팽창 실시와 함께 아시아 내부의 분열은 가속화하여, 베트남의 분열, 중국의 분열, 한국의 분열 등 많은 국가차원의 존립문제가 나돌았다.
참고 자료
배영수편, 서양사강의, 한울, (서울, 1992>
T.H.아스톤,C.H.E.필핀편, 이연규옮김. 농업계급구조와 경제발전, 집문당,1991
P.Anderson,유재건 한정숙 역, 고대에서 봉건제로 이행,창작과비평사,1991
M.Dobb, 이선근역, 자본주의발전연구,동녘,1986
김기현 역(謝仲明), 유학과 현대세계, 서광사, 1998.
박성규 역(馮友蘭), 중국철학사 상,하, 까치, 1999.
표정훈 역(시어도어 드 배리), 중국의 자유전통, 이산, 1998.
최진덕 외, 군자의 나라, 명진출판, 1999.
한상진 편, 현대사회와 인권, 나남, 1998.
함재봉, "유교전통과 인권사상", 계간 사상 1996 겨울호.
황갑연, 공맹철학의 발전, 서광사, 1998.
계몽사 학습 백과 사전
남경태, 트라이앵글 세계사, 푸른숲, 2001
http://altair.chonnam.ac.kr/~cnn518/con5/simpo0144.html
http://culture.mokpo.ac.kr/~hwangha/studydata/data/7.htm http://my.netian.com/han82569/book_jaryo/book1/5-2-2.htm
근대화 여러 문제 http://khweb.kyunghee.ac.kr/~lejpdh/gundaehwa.htm
피터두우스의 [일본근대사]에 나타난 저자의 일본근대사를 보는 관점
http://user.chollian.net/~sikaku/text/h05.htm
에드윈 라이샤워의 일본역사의 특이성에 대한 서술
http://jls.co.kr/japan/information/history
http://myhome.thrunet.com/~ksm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