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대소설 최서해-<탈출기> 작품 분석 및 해설, 문학사적 의의 등을 다룬 분석자료입니다.
국어국문학과 및 국어교육과 학생들에게 매우 유용하고, 심도 있는 작품 분석 자료입니다.
-수록 내용 : 작가의 생애, 서지사항, 줄거리, 등장인물 분석, 작품의 분석, 작품 해설, 문학사적 의의 등을
각종 서적 및 참고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빙성 있고 심도있는 자료입니다.
<특히, 국어과 임용고사를 준비하시는 수험생에게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
목차
1. 최서해(1901~1932)의 생애
2. 「탈출기」의 작품 분석
(1) 서지사항 : 1925년 3월 조선문단 3월호에 발표.
(2) 줄거리
(3) 「탈출기」의 인물분석
(4) 「탈출기」의 특징
(5) 「탈출기」의 문학사적 의의
3. 신경향파 소설의 부류(임화) - 최서해적 경향 : 전망의 부재
본문내용
1. 최서해(1901~1932)의 생애
본명은 최학송. 함북 성진에서 빈농의 아들로 출생. 독학으로 문학수업. 1918년 간도로 가 유랑생활을 하면서 최하층 생활을 전전한다. 1923년 귀국, 1924년 단편소설 토혈을 동아일보에 발표. 1925년 조선프로예맹 가입, 1929년 탈퇴. 1932년 7월 위장병으로 사망.
- 대표작: 탈출기(1925), 박돌의 죽음(1925), 기아와 살육(1927), 홍염(1927) 등
2. 탈출기의 작품 분석
(1) 서지사항 : 1925년 3월 조선문단 3월호에 발표.
(2) 줄거리
박군은 자신이 집을 나와 XX단에 가입한 이유를 친구인 김군에게 편지로 밝힌다. 박군은 자신의 고향에서 힘겹게 살다가, 5년전 어머니와 아내를 데리고 간도로 이주하지만, 간도에서의 삶은 고향에서의 삶보다 더욱 비참해졌다.
<이하생략>
참고 자료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 지식산업사, 1990,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3, pp.
김재용 외,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김윤식․정호웅,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