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ardness(경도) 측정
2. Electrical resistivity 측정
3. reference
본문내용
1. Hardness(경도) 측정
1) Hardness(경도)란?
-> 경도란, 누르는 압력에 대한 재료의 저항력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경도 값은 압흔에 의해 생성되는 영구 변형 량으로 측정되며 대부분 항복강도나 내마모성과 직접적인 비례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직접적인 비례 관계가 없는 경우도 있다. 경도시험은 대부분 금속생체재료의 시험 면을 파괴하지 않고도 기계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2) 경도 시험(Hardness test) 종류
-> 경도 측정법으로는 긁기경도(scratch hardness), 압흔경도(indentation hardness)반발경도(rebound hardness) 등 세 가지로 대별되며 금속재료에서는 압흔 경도(indentation hardness)가 많이 사용된다.
<중 략>
-> 단위단면적당 단위길이당 저항이며 , 비저항 ρ는 물질의 고유한 특성이다.
-> 비저항의 단위는 Ωm이다. 실제적으로는 μΩm를 많이 사용한다. 비저항 ρ는 도체의 길이 L에 비례하고 단면적 A에 반비례하는 도체의 기하학적 형태에 따라 변하는 특성을 가진다.
-> 단면적과 길이는 물질의 모양에 따른 값으로 물질의 특성은 아니다. 전자의 이동에 대한 저항의 비 즉, 물질의 특성이 바로 비저항 ρ 이다.
-> 비저항 ρ는물질이 얼마나 전류를 잘 흐르게 하는 가에 대한 양인 전도율인 전기전도도 σ와 역수 관계에 있다.
-> 비저항은 고유저항이라고도 말하며, 물질의 재료와 종류, 온도, 길이, 단면적 등에 따라 결정된다. 어떤 물질의 가로 세로 높이가 1인 저항을 물질의 고유저항이라고 한다.
그림6. 단면적과 길이에 따른 비저항의 크기변화
참고자료
· 한국 의공학 실무조직(MEASK) - 측정기 http://cafe.daum.net/realbiomedical
· 재료과공학, 2006, 기전연구사, 서영석지음, 209p
· 재료과학과 공학-고체상태의 기본원리, 2010, 교보문고, 이시우 지음, 112p, 246p
· 전기 비저항 측정법의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2007, 한정섭, pp.63~68
· 측정공구의 사용법과 활용법, 1992, 기전연구사, 삼산무길지음, pp35~40
· 생체재료학, 2009, 자유아카데미, 한국생체재료학회, 생체재료의 기계적 특성 - 108p
· 재료역학(3rd) J.M. Gere & S.P. Timoshenko, chap 9-재료의 기계적 성질
·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n Introduction), W.D. Callister, Chap. 7, 9
· 기초생체역학 제2판, 김영호, 김윤혁, 김한성, 이성재, 탁겨래 옮김, 173p, Chapter7, Stress and Strai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