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언론에 관하여
- 최초 등록일
- 2013.10.09
- 최종 저작일
- 2013.09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들어가는 글
1. 잡지의 정의
2. 우리나라 잡지의 역사
3. 잡지의 특징
4. <타 매체 VS 잡지>
5. 잡지의 종류
6. 대표적인 잡지들
7. 잡지에 관한 몇 가지 이슈들
8. 잡지의 영향력
9. 한국 잡지언론의 현황과 발전방향.
본문내용
-들어가는 글
‘잡지언론’이라는 발표주제를 듣고 우리 조는 잡지언론에 대한 명확한 가닥을 잡지 못했고, 우선 사람들에게 잡지에 대한 생각을 들어보기로 했다. 몇몇 사람들의 인터뷰 결과, 잡지라는 단어를 들으면 대개의 사람들이 패션, 영화, 디자인 등의 특정분야에 편중된 장르만 잡지로 인식하고 있었다.
때문에 잡지언론에 관련한 발표 및 레포트를 잡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 및 역사, 이슈, 문제점, 나아가서 해결방안까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잡지의 정의
잡지의 사전적 의미: 여러 가지를 기록하여, 정기적으로 호를 거듭하여 간행하는 출판물
신문은 ‘종이 지’자를 쓰지만 잡지는 신문과 달리 ‘기록할 지’자를 사용
똑같은 뉴스페이퍼라고 하더라도 책의 형태를 갖추어 제본된 것은 잡지로 분류한다.
또한 잡지라 하면 특정한 주제에 대해 집필자의 사상, 주장, 경험, 기록, 창작 등을 문자, 사진, 그림 등으로 표현된 것을 편집하여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출판물이다.
⁂ 잡지의 정의 : 특정 주제에 대해 집필자의 사상 주장 등 여러 가지를 그림과 함께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출판물이다.
2. 우리나라 잡지의 역사
-제 1기 태동기
광복 전인 제 1 기는 1896년부터 1910년의 '한일합방'까지의 태동기로서, 이 시기는 주로 각종 협회와 학회, 그리고 종교 단체에서 새로운 학문과 문물을 소개하는 잡지를 간행하여 계몽과 개화의 역할을 담당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초기 잡지가 마련한 초석으로 본격적인 종합잡지와 전문지 등이 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제 2기 무단정치시기
1910년 한일합방으로부터 1919년 3.1운동까지의 10년간은 정치적으로는 무단정치시대였으며, 언론의 암흑기였다. 합방 이전까지 활발하게 발행되었던 여러 종류의 일간지들은 모두 폐간되었고, 조선총독부의 기관지로 전락한 매일신보만이 유일하게 한국어 신문으로 남아있었다고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