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는 우리 민족이 일제의 탄압을 받았던 시대로 많은 우리 민중들이 일본인들과 친일세력의 가혹한 수탈을 당하던 시절에 자본을 바탕으로 한 지주층들은 부당한 행위를 통해 부의 축적을 지속해 갔으며, 상대적 위치에 있던 대다수 농민들과 하층민들은 최소한의 생존을 위한 기회마저도 제공받지 못하는 삶을 살아야 했다. 일제는 이러한 상황에 덧붙여서 일제는 또 하나의 탄압방책, 문화 말살 정책을 자행했으며 이러한 정책은 한국문학계에 많은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특히 카프는 30년을 전후하여 사회주의적 성격을 띠는 문학을 전개하였으며, 좌파로서 일제에 항거한 것을 볼 수 있다. 작가 채만식은 카프의 사상에도 의식적으로 동조하며 반일의식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일제의 검열의 심화로 인해 반일감정을 직접적 서술로 표현하던 방법을 피하고 사회에 대해 관찰자적 위치의 화자로서 그 성격을 변화시켜 간다. 그의 30년대 초기 작품 ⌈세 길로⌋, ⌈레디메이드 인생(人生)⌋등이 사회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한 반면, 그의 30년대 후반의 작품 ⌈탁류(濁流)⌋, ⌈태평천하(太平天下)⌋가 그 시대를 나타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으로 서술하지 않고, 풍자나 리얼리즘에 의존하는 변화를 볼 수 있다.
결국, 그는 일제 시대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지녔으며 지식인(작가)의 한 사람으로서 지주계층의 타락상과 하층민의 비인간적 생활에 대해 비난과 동정을 하고 있으며, 소설에서도 이 같은 시대의 부조리를 폭로하고자 했다고 할 수 있다.
· 채만식, 『채만식전집 1~10』, 창작과 비평사, 1987. 이주형, ⌈채만식 문학과 부정의 논리⌋, 『한국 현대소설사 연구』, 민음사, 1987.
· 조동일, ⌈판소리의 전반적 성격⌋,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78.
· 최하림, ⌈채만식과 그의 1930년대⌋, 현대문학, 1973. 10.
· 최원식, 민족문학의 논리 창작과 비평사 1982
· 최원식, 「채만식 역사소설에 대하여」 창작과비평사1982
· 한지현, 『1930년대 민족문화의 인식』 한길사 1990
· 염무용, 「채만식평전」
· 백 철, 『비평의 이해』, 현음사
· 한지현, 『1930년대 민족문학 인식』, 한길사 1990
· 최재서, 『풍자문학론』, 조선일보 1935
· 루카치, 『문학이론』, 세계문학, 1990
· 김윤식, 『채만식의 문학세계』 문학과지성사 1984
· 최혜실, 「채만식 풍자문학연구」 관악어문연구 11집
· 권영욱, 『1930년대 민족해방운동』, 거름, 1984
· 김경옥, 『한국현역작가론』, 예니, 1987
· 김숙현, 「채만식 희곡연구」, 경남대학교 박사논문, 1990
· 김윤식,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8
· 김재석, 「1920~30년대 사회극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논문, 1993
· _____ , 「채만식 희곡연구」, 경북대학교 석사논문, 1985
· _____ , 「현실인식과 실험정신의 조화」,『한국 극작가ㆍ극작품론』, 삼지원, 1994
· 박성희, 「채만식 희곡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9
· 배봉기, 『김우진과 채만식의 희곡연구』, 태학사, 1997
· 오순아, 「채만식 희곡 연구」,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석사논문, 1999
· 이재화, 『한국근현대민족해방운동사』, 백산서당, 1992
· 한형구, 「채만식의 '탁류'와 비극적 세계관」, 문학사상, 1987. 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