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론
1. IMT-2000의 국제 표준화 동향
◈ IMT2000 단일 표준을 위해 합의한 핵심 사항
◈통합안의 기본적인 요구사항
2. 각 국의 표준화 현황
◈ 미국의 표준화 현황
◈ 유럽의 표준화 현황
◈ 일본의 표준화 현황
3. 국내의 IMT-2000 사업과 표준화 동향과 그 발전
◈ 국내 표준화 조직
◈ 정보통신부
◈우리나라 IMT-2000용 주파수분배 (정보통신부고시 제2000-60호 내용중)
◈ 우리나라 IMT2000 사업자 선정
◈ 정보통신부 IMT2000 사업자 선정 결과
◈ 동기식 사업자 선정
◈ IMT-2000 업체별 준비현황
맺음말
본문내용
21세기 멀티미디어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이 시점에 이동통신 사용자의 급격한 증가와 행동범위의 확대, 개인화, 멀티미디어화 등 다양한 변화에 따라 “언제, 어디서, 누구든지”라는 차세대이동통신 본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차원에서 어떠한 종류의 네트워크간에도 사용자, 서비스,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도록 기본 인터페이스 표준화는 매우 필수적이며, 표준화로 인하여 동일한 부품의 사용 및 규격화로 생산량의 증가와 제조업체간 경쟁으로 단말기의 가격이 하락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많은 혜택이 돌아 와서 서비스의 활성화를 촉진한다.
ITU에서는 1980년대 말부터 이러한 개념을 도입하여 각 지역/국가 표준화 기구들과 함께 2000년경에 사업개시를 목표로 IMT-2000 표준화협력 활동을 활발히 추진하였다. 따라서 ITU에서는 초기에 FPLMTS(Fu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라는 미래형 육상이동통신 개념으로 출발하였으나 표준화 개발과정에서 그 이상으로 확대되었다.
ITU에서 정의된 IMT-2000표준화의 목적 또는 목표는 공간적으로 육상, 해상 그리고 공중의 전범위를 커버하여, 완전한 지상 및 위성부품을 이용하여 2000년 초경에 전세계 이동 및 고정 사용자들에게 다양하고 광범위한 서비스/단말기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유연성 있고 Seamless한 서비스 제공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부수적으로 전세계적인 통신망 운용효율을 증진시켜 지역/국가간의 정보통신 격차를 해소하는 것도 목표로 삼고있다.
참고자료
· [한국일보] 2001-09-07 (특집) 기획.연재 20면 30판 2113자
· http://www.itbiz.co.kr/news/telecom/1999060104.htm
· http://www.ansetech.co.kr/anse/imt-2000.htm
· http://www.rapa.or.kr/korean/data/kdt01b1304sh.htm
· http://bazi.pe.kr/teach/theory/digital/ch6_8.htm
· http://www.kinds.or.kr/ 한국데이터베이스
· http://www.tta.or.kr/StdInfo/WhiteBook/
· http://www.lg019.co.kr/infoplaza/imt2000/news/
· http://www.rapa.or.kr/
· http://www.rapa.or.kr/
· -전파진흥협회 and 한국 무선국 관리사업단 발행 : 전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