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Ⅱ. 본 론
1. 오여필(吳輿弼)
2. 설선(薛瑄)
3. 호거인(胡居仁)
4. 진헌장(陳獻章), 누량(累諒)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명 태조는 포의(布衣)에서 몸을 일으켜 천하를 평정하였다. 천하 평정뒤에는 관리 등용시험에 경의(敬意)를 주로 하였으므로 문교(文敎)가 융성하게 되어 많은 학자를 배출시켰다. 그러나 당시의 학자는 대개 정주학(程朱學)을 신봉한 사람들 뿐이라 명대(明代)의 특색이 아직 나타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영락(永樂) 12년 호(胡)에게 명하여 「사서대전」,「오경대전」 을 찬술케 하였을때 어느 경(經)이나 모두 주자의 주(主)에 기본을 두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만도 명초(明初)의 학문이 주자학을 그대로 계승하였을뿐 독창성이 없었다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본론에서는 오강재(吳康齋) 사상에 대해 논하고 순수한 주자학자의 설선에 대한 내용을 먼저 언급한 뒤에 다시 오강재의 문인인 호거인(胡居仁), 진헌장(陳獻章), 누량(累諒)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