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지도 4E형] 유아들을 위해 놀이활동을 계획하고자 한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놀이지도 계획안을 구성하여 설명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3.09.24
- 최종 저작일
- 2013.09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전체 9 페이지 중 2페이지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닫기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극 놀이 활동 계획
1) 극 놀이 활동의 개념
2) 극 놀이 활동의 중요성
2. 극 놀이지도 계획안
3. 극 놀이 활동 계획 방법
1) 극 놀이 활동 진행 방법
2) 극 놀이 활동 계획의 단계 내용
3) 극 놀이 활동에서 교사의 역할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놀이의 사전적 의미는 즐거움을 얻기 위해 스스로 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그만큼 놀이는 그 자체로서 즐거움과 만족을 주고 어떠한 강제성 없이 자발적으로 행해짐을 의미하며, 특히 아동에게 있어서는 일과 놀이의 구분이 없으며 놀이가 곧 일인 것이다. 프로이드는 아동이 가장 사랑하고 가장 몰두하는 일은 놀이라고 정의 했으며, ‘모든 아동이 놀이에서 상상력이 풍부한 작가처럼 행동하며,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고, 좀 더 진실하게, 좀 더 잘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신의 세계와 질서를 정리하며, 또한 아동은 매우 진지하게 놀이를 하며 자신의 많은 정서적 측면을 놀이에 표현한다’라고 하였다. 놀이는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
<중 략>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유아들을 위해 놀이활동을 계획하고자 한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놀이지도 계획안을 구성하여 설명해 보았다. 고대나 중세까지의 아동의 놀이를 살펴보면, 아동의 놀이가 허용되긴 했으나 지극히 제한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으며, 아동의 놀이에 대한 관점의 획기적인 변화는 근대 이후부터 시작되었다. 도덕학자와 심리학자들이 아동기에 대한 엄격한 입장을 비판하면서 시작되었는데 대표적인 학자들로 코메니우스, 로크, 루소, 페스탈로치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아동들이 비자연적인 생활이나 제약으로 부터 벗어나 자연적인 발달에 따른 감각적인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근대의 학자들이 놀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한 반면, 현대의 학자들은 놀이를 통한 학습의 가능성을 열고 아동의 발달에 있어서의 놀이의 역할을 강조한다. 20C에 들어오면서 유치원 교육의 확장과 더불어 심리학 이론의 발전은 아동에게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 20C 진보주의 이론에 기초한 아동의 놀이 연구는 좀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교육 과정에 있어 놀이를 실제적으로 활용할 것을 강조했다.
참고 자료
장휘숙, 아동발달, 박영사, 2002
이숙 외, 현장중심 놀이치료, 학지사, 2002
정옥분, 영유아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4
이숙재,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1996
교육인적자원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돕는 협동 활동 프로그램, 2006
강태희, 창작동화를 이용한 극놀이활동이 유아의 이해력과 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김소영, 글없는 그림책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탈상황적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