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와 맹자의 경제사상 비교 및 해석
- 최초 등록일
- 2013.09.19
- 최종 저작일
- 2013.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동양정치사상 기말레포트입니다.
목차
1. 서 론
2-1. 공자의 경제사상
2-2. 맹자의 경제사상
3. 결 론
본문내용
공자는 춘추시대에 매우 혼란한 사회 속에서 사상으로써 동아시아 발전의 기초를 닦은 유가의 시조이다. 그가 주창한 사상으로부터 기원한 유가사상은 중국의 전근대시기 뿐만 아니라 과거 일본, 베트남, 우리나라 등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으며 국가의 중심사상이 돼 왔다. 공자가 살던 기간에 여러 국가가 잦은 전쟁으로 사회체계와 질서, 도덕 등의 윤리가 파괴되었으며 커다란 혼란을 겪었다. 나라를 올바른 곳으로 이끌 리더들은 나라를 바로잡으려고 하기보다는 자신의 안위만을 걱정하고 권력을 확장 하는 데만 관심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약자인 백성들의 삶은 궁핍하고 비참하였다. 이런 부패를 바라보던 공자는 정치에 직접 나아가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 싶었지만 정치가로서 등용에 실패하고 대신 후학을 교육하는 방법으로 정치사상을 발전시켰다.
이런 유가사상이 과거에는 사회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현대시기로 넘어오면서 외래의 문물과 사상이 전파되었고 내가 배워온 지난 교육과정을 되돌아보았을 때 우리가 배워오던 동양의 것을 배우기보다는 서양의 것을 배우는 부분이 더 많다고
<중 략>
맹자는 전국시대 교육자이자 사상가로 공자의 사상인 유가학을 직접 계승한 사람이다. 또한 ‘성선설’을 주장한 대표자이다. 그의 경제사상은 공자의 경제윤리사상을 재생산, 발전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맹자는 의리관을 경제윤리사상의 핵심으로 파악했으며 도덕주의적 성향이 더욱 강해졌다. 맹자는 의리관에서 어찌하여 이를 말하고 있는 지에 대한 관점을 제기했다. 맹자 양혜왕편을 보면 맹자가 양혜왕을 만난다. 왕은 맹자에게 “그대가 천리를 멀다 하지 않고 찾아 주셨으니 장차 내 나라에 이롭게 함이 있겠지요?” 라고 물어보자 맹자가 대답한다. “왕은 어찌하여 이익에 대해 말씀하십니까? 진정 중요한 것은 인의가 있을 뿐입니다.
참고 자료
최 명, (2004),『춘추전국의 정치사상』, 박영사
최회남, (2007),『정다산의 경제윤리사상』, 김영사
현용준, (2007), 『공자왈 맹자왈』, 민속원
방진혁, (2006), 『맹자의 경제 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