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론] 가족체계이론의 정의 및 특징, 가족체계이론의 8가지 개념, 학교에서의 가족 체계적 접근의 필요성 및 학자견해, 가족체계적 관점에서의 부모교육
*봉*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정성것 작성하여 만들어서 A학점 받은 레포트입니다.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아요.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목차
1. 가족체계이론의 정의 및 특징2. 가족체계이론의 8가지 개념
1) 삼각관계 (Triangle)
2) 핵가족의 감정과정 (Unclera family emotional system)
(1) 감정 유리 (Emotional Distance)
(2) 부부충돌 (Marital Conflict)
(3) 배우자의 부적응 (Spouse Dysfunction)
(4) 자녀의 심리적 상처 (Impairment of children)
3) 가족 투영 과정 (Family Projection Process)
4) 분화의 척도 (Scale of Differenttiation)
5) 다세대 전달과정 (Multigeneration Transmoission Process)
6) 감정적 절단 (Emotional Cutoff)
7) 형제 간의 위치 (Sibling Position)
8) 사회적 감정과정 (Social Emorional Process)
3. 학교에서의 가족 체계적 접근의 필요성 및 학자 견해
4. 가족체계적 관점에서의 부모교육
1) 가족체계적 관점에서의 부모교육의 필요성 및 학자 견해
2) 가족체계이론을 적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1) 프로그램의 정의
(2) 프로그램의 목적 및 특징
(3) 프로그램의 내용 (부연설명 포함 + 나- 전달법 부모교육 보충)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체계이론의 정의 및 특징ㆍ이론적 배경:
- 1930년 초 생물학자 버터란피에 의해 주장 → 체계의 한 부분이 변하면 다른 부분들도 그에 의해 변화하며 변화가 다시 처음의 변화 부분에 영향을 줌.
- 부분들끼리 또는 부분들과 전체와의 상호성과 관계성을 중시하며 배경맥락에 기초하여 현상을 파악하고 설명 함.
ㆍ정의: 가족상담의 주요 이론으로 가족의 관계적 체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접근하는 방법
ㆍ가족- 체계
ㆍ가족 구성원- 요소
ㆍ부부관계, 형제 자매 관계, 부모 자녀 관계- 하위체계
ㆍ지역사회- 환경
ㆍ특징:
→ 영향
(가족 구성원들 사이의 상호작용 중시)
⇒ 가족은 상호작용 하는 개인들의 집단이므로 한 가족 구성원의 변화는 다른 가족 구성원 들에게 영향을 주고 가족 전체, 가족 분위기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가족 분위기는 다 시 개인이나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줌.
⇒ 개인을 가족이라는 전체 체계의 한 부분으로 보고 개인의 행동을 다른 부분이나 전체 가 족체계와의 관계성 맥락에서 설명
<중 략>
너 전달법: “너는 매사에 왜 그 모양이니? 한두 번이 아니지 않니? 어쩔래, 응?”
자녀 마음: “또 잔소리구나, 화가 난다. 치사하다. 나는 정말 구제불능이다”
나 전달법: “아이구 어쩌나 ,어디서 잃었을까, 너 마음이 속상했겠구나, 엄마 아빠도 속이 상하네, 그렇지만 그럴 수도 있지 뭐.”
자녀 마음: “지갑이나 돈보다 나를 더 염려하시는 구나, 좀더 조심해야겠다.”
* 긍정적 나 전달법은 자녀에게 칭찬과 감사 같은 부모의 감정을 전달함으로 자녀가 스스로 행동 변화를 일으키도록 하는 표현법입니다. 구체적인 상황과 부모의 긍정적 감정을 함께 전달하는 것입니다. 칭찬은 구체적일수록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나 전달법: “네가 오늘 엄마 설거지를 도와주니까 엄마가 일을 빨리 끝낼 수 있어서 너무 기분이 좋다. 고마워.”
자녀 마음: “앞으로 더 엄마를 도와드려야지”
* 예방적 나 전달법이란 자녀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이 발생하기에 앞서 예방적인 차원에서 미리 주의를 주는 방법입니다. 역시 구체적인 상황과 함께 부모의 마음을 전달하는 표현이며, 훈계의 효과도 있습니다.
경청하기와 표현하기의 실제
표현하기의 목적은 자녀가 하고 있는 문제의 행동을 자녀의 반발이나 저항이 없이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주려는 것이다. 표현하기(나-전달법)도 실제 자녀와의 대화상황에서 대단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나-전달법을 사용하다가 상대방의 반응에 저항이 있을 때는 다시 공감적 경청을 사용하는 것이 대화를 부드럽게 이끌어가게 해 준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참고 자료
김유숙 저, 심리치료이론과 가족치료, 학지사 2012권석만 저, 현대 심리치료의 상담 이론, 학지사 2012
이원숙 저, 가족복지론, 학지사 2012
정옥분 저, 부모교육, 학지사 2008
Jerry J. Bigner 저, 부모 자녀관계, 교문사 2007
전남련 저, 부모교육론, 형설출판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