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그리드 (smart grid)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13.09.14
- 최종 저작일
- 2012.10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I. 서론
1. 스마트 그리드란?
2. 스마트 그리드의 출현배경
II. 본론
1. 스마트 그리드의 특징 및 장단점
(1) 스마트 그리드의 장점
(2) 스마트 그리드의 단점
2. 생활 속의 스마트 그리드
3. 국내외 스마트그리드사업 추진현황
(1) 국내 현황
(2) 국외 현황
4. 스마트 그리드의 전망
III. 결론
본문내용
서론
올 해 여름, 사상초유의 무더위로 인해 전력수요가 최고치를 경신했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전력수요를 정확히 예측해 전력 수급이 안정을 이룰 수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에 의하면 전통적으로 전력 수요가 가장 많은 겨울에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이다. 그 일례로 얼마 전인 12월 18일에 역대 최고의 전력수요를 기록했다. 이는 8월 6일에 기록한 최고치인 7,429만kW보다 88만kW가량 높은 것이다. 이와 같이 전력 공급 부족이 심화되는 이유로는 크게 이상기후현상, 전력 과소비 습관을 들 수 있다. 현재 지구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지구온난화 때문에 비정상적인 폭염, 한파 등이 나타나고 있다. 통상적으로 여름에 기온이 1도가 오르면 전력 수요는 60만kW가량 증가하고, 겨울에 기온이 1도가 떨어질 때마다 전력 수요는 50만kW이상 증가한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전력수요는 자연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요금 때문에 전력 과소비 패턴이 개선되지 않는 것도 또 다른 이유로 볼 수 있다.
<중 략>
유럽은 분산전원 수용과 에너지 효율 증가라는 목표 하에 분산형 전원 보급 확대, 국가 간 전력거래, EU차원의 그리드 서비스에 초점을 두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 관련 연구는 유럽위원회의 주도 하에 송배전, 분산전원 등의 분야에서 수용가와 양방향 서비스 기술, 전력망의 효율성과 안정성 향상 기술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스마트 그리드 전략은 전력망 관리 전략으로의 통합 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도 이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연합은 2022년까지 회원국의 모든 건물에 스마트 미터를 설치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일본은 지구온난화 대응 및 에너지 안보 측면과 핵심 기술 선점을 통한 경제력 향상을 목적으로 스마트 그리드를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를 기존의 전력망과 신재생에너지 및 분산전원의 연계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되는 발전된 형태의 전력망으로 정의하고 있고 태양광 발전의 계통 연계를 위한 마이크로그리드를 확산시키고자 한다. 일본정부는 에너지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2030년까지 스마트 그리드 구축 사업을 완료한다는 전략을 수립하였다.
참고 자료
이일우, 박완기, 박광로, 손승원, “스마트 그리드 기술 동향”, 『한국통신학회』, 한국통신학회지
이명호, 홍석원, 이철환, 이승재, “한국형 스마트그리드의 추진 동향 및 전망”, 『정보산업동향』
박남제, “커지는 스마트그리드 보안요구”, 『이티뉴스』, 2010.04.16
“전력난도 스마트하게 극복하자-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방송통신위원회
제주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이정호, “플러그만 뽑아도 연 4160억 절약”, 『한국경제』, 2012.07.17
(재)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IEEE-SA 한국 공식블로그,
“스마트 그리드”,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