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언어기호의 종류
1) 지표(index)
2) 도상(icon)
3) 상징(symbol)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언어기호는 인간의 정신 속에서 결합되는 심리적인 두 요소, 즉 개념과 청각영상의 결합이 아니고 단지 외부 대상과 그 대상에 명칭을 대응시키는 것이 되고 만다. 이것은 소쉬르 자신이 부인했던 언어 기호에 대한 개념이다. 언어 기호의 설명에서 지시대상을 배제하려고 한 소쉬르의 이론이 결국은 대상과 낱말의 관계로서 언어기호를 설명하게 되는 자기모순에 빠지고 만 것이다.
또한 소쉬르는 용어상의 문제에서 개념과 청각영상의 결합인 전체를 가리키기 위해서는 기호(signe)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개념은 시니피에(signifie)로, 청각영상은 시니피앙(signnifiant)으로 각각 대체하고 있다.
기호는 처음에 문자를 대신해서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해서 존재했다. 그 당시의 기호는 따라서 상당히 구체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우선 알타미라의 들소그림을 보면 이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이 지금으로부터 2만5천년 전에 그려진 것이라고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그 그림은 상당히 구체적이고 정밀하게 그려져 있다. 하지만, 서로의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그렇게 그릴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중 략>
도상은 이모티콘(emotion + icon)이라는 용어에서 보듯이 어떤 개념을 표시하는 의미로서의 아이콘이다. 도상은 기호와 지시 대상의 관계가 서로 유사할 때 성립한다. 하나의 기호가 가리키는 사물이나 사건은 그것이 어떻게 변하던지 비슷하거나 닮은 의미로써 보편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도상은 시니피앙과 시니피에 사이에 실제적인 유사성이 있다. 기호와 지시 대상의 관계에서 유사성이 바탕을 이루는 것으로 초상화를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이 한국어 기호를 이해한다거나 아랍어를 모르는 비아랍인이 아랍어로 표시된 기호가 무엇을 뜻하는지 쉽게 알 수 있듯이 기호와 지시 대상의 유사성이 강한 것이 아이콘이다.
3) 상징(symbol)
상징은 기호와 지시 대상의 관계가 자의적인 것이 특징이다. 상징은 문화적 관습이나 성향에 따라 만들어진 기호로서 해당 문화를 이해해야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비로소 정확한 사용과 해석이 가능하다. 예컨대 동양 사람들은 용을 천자나 황제, 신성불가침의 존재로서의 수호신으로 인식하지만, 서양에서의 용은 영화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용의 이미지처럼 파괴자, 혹은 혼란과 혼돈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를 의미한다.
참고자료
· 소쉬르, <일반 언어학 강의>,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1.
· 에밀 벵베니스트, <일반 언어학의 여러 문제2>,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 조나단 컬러, <소쉬르>, 시공사, 1998.
· [네이버 지식백과] 언어 기호 [linguistic sign, 言語記號]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 국사전연구사)
· 숀 홀, 김진실 역, 기호학 입문 의미와 맥락, 비즈앤비즈, 2009
· 요하네스 페르, 최용호 역, 소쉬르 언어학과 기호학 사이, 인간사랑, 2002
· 전정예, 언어학 특강, 경진문화사, 2010
· 페르디낭 드 소쉬르, 최승언 역,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 로버트 로빈스, 강범모 역, 언어학의 역사, 한국문화사, 200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