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학급경영 개편 방향
*한*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과제로 제출했던 리포트입니다.목차
Ⅰ. 서 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경제적 배경
2. 교육과정 개정 내용
Ⅲ. 영어과 수업 운영의 실제
1. TEE 및 NEAT에 대한 인식
2. 영어 학습 시설
3. 수준별 영어 수업
4. 원어민 강사 채용 문제
5. 공교육 실현 문제
Ⅳ. 실천 방향
1. TEE와, 새로 도입되는 평가제도 NEAT에 대한 인식변화
2. '개정된 교과과정 수행'을 위한 영어 학습 시설 지원
3. 수준별 영어 수업 운영
4.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환경을 위한 외국인 강사 채용
5. ‘개정된 영어과 교과과정’과 ‘NEAT’를 위한 공교육 강화 방안
Ⅴ.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은 총체적 언어 접근법(The Whole Language Approach)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것은, 학생들이 듣기와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언어기능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점진적으로 함양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 영역 문항들은 말하기와 쓰기 기능을 간접적으로 듣기와 읽기를 통해 평가하고 있다. 이것은 곧, 진정한 쓰기와 말하기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 영역이 통합적인 시험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교육인적자원부에 따르면 2006년 기준으로 연간 약 269만 명이 미국에서 개발된 토익, 토플 등을 치르고 있다. 특수목적고교와 대학 진학, 대학의 학점인정, 졸업요건, 공·사기업의 취업 및 승진 등 영어시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기존에 개발된 영어능력 평가시험은 인지도가 낮고 통용성이 부족하여 해외개발 영어시험에 대다수가 의존하고 있다. 이것은 비단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공신력과 통용성을 갖춘 국가영어능력 평가시험을 연구개발하고, 정착시켜야 된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한국 정부는 교육과학기술부 주도하에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 개발에 착수하였다. NEAT는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네 가지 영역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다. 따라서 기존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 영역이 갖고 있던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NEAT는 기본의 지필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Internet Based Test(IBT)방식으로 시행 된다. NEAT 의 출제 및 시행 체제는 수준별(2·3급) 평가 체제로 복수 시행 체제를 따른다. NEAT는 2012년부터 ‘새로운 국가영어능력평가’의 시행이라는 명목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한편, 평가제도의 변화만큼 교육과정에도 새로운 바람이 불어왔다. 2009년 12월 31일에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이 고시되었고(교육과학기술부, 2009) 2011년 8월 9일에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이 고시되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에 소개된 주요 내용인 공통교육과정 기간의 재설정, 학년군제 도입, 고등학교 전 학년에 걸친 선택교육과정 적용 등이 구체적으로 명시화된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2013년에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시작으로 해서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참고 자료
고정민(2011), 중학교 수준별 TEE 수업에서 수업활동과 교사발화의 차이.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27(1).교육과학기술부(2000), 제 7차 교육과정 연수 자료, 서울: 교육부.
교육과학기술부(2008), 외국어과 교육과정(1). 교육부 고시 제 2008-160호[별책14].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2009),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2011), 영어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김은정(2008),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김현주(2009), 국가영어능력 인증시험에 대한 선행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송수영(2011),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Teaching English in English.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신인숙(2005),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학년과 집단에 다른 인식 비교. 영어교육. 60(2), 161-183.
이소영(2012),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및 고찰, 교과교육학연구, 16(3), 731-747.
이승복(2005), 초등 영어교사 교실영어 비교 연구. 영어교육, 60(2), 161-183.
이승철(2012), 대학수학능력 외국어시험 대안으로서 NEAT에 대한 인식: 사례연구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임희석(2012), 스마트하게 가르쳐라: 스마트 교육, 휴면싸이언스.
장경숙 外(2011), 2009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영어과 기본 어휘 목록 및 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Modern English Education, 12(2), 190-2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0),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2-3급) 개발 및 운영방안 (ORM 2010-15),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현태덕(2010), 과제중심 영어 학습지도안 모형 개발, 영어어문교육, 16(4), 321-346.
홍진옥(2007), 몰입 영어 교육 정책 재검토가 필요하다, 인제 논총, 23(1).
홍진옥(2008), 실용 영어 교육 성공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방향, 영어교과교육론, 7(2), 39-51.
Kim, Duk-ki(2001), CLT and TETE for non-native teachers: A reading comprehension approach. Journal of the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Korea, 17(2), 55-72
Kim, Sung-Ae(2002),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classes in the Korean context. English Teaching, 57(4), 315-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