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업(관광산업) 분류, 관광업(관광산업) 시장구조, 관광업(관광산업) 인식, 관광업(관광산업) 수자원, 관광업(관광산업) 지역경제, 관광산업 외국인투자유치제도, 추진전략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9.10
- 최종 저작일
- 2013.09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7,500원
목차
Ⅰ. 서론
Ⅱ. 관광업(관광산업)의 분류
1. 관광숙박시설
1) 정의
2) 종류
2. 컨벤션 사업(Convention Business)
1) Berkman의 정의
2) Coffman의 정의
3) 오늘날의 활용
3. 관광교통시설(Tourist Transportation Facility)
1) 육상운송수단
2) 해상교통수단
3) 항공운송
4. 관광매력(Tourist Attractions)
1) 정의
2) 관광 요소
3) 관광매력물 개발 방법(Harrison A. Price)
4) 우리 나라의 관광자원 개발
Ⅲ. 관광업(관광산업)의 시장구조
1. 수요 요인(Demand factors)
1) 신체적 동기
2) 문화적 동기
3) 사회적 동기
4) 환상적 동기
2. 관광자의 목적지 선택과 인식 요소
1) 개인적 특성
2) 지각
3) 관광정보
4) 관광 이미지
3. 공급 요인(Supply factors)
1) Peter E. Murphy의 관광자원
2) 관광상품(tourist products)
4. 관광시장(tourist market)
1) 시장기능
2) 관광시장의 정의
3) 관광시장과 관광상품
4) 관광시장의 확대
Ⅳ. 관광업(관광산업)의 인식
Ⅴ. 관광업(관광산업)의 수자원
Ⅵ. 관광업(관광산업)의 지역경제
1. 숙박업체 현황
2. 관광객의 관광여행 일반적 사항에 대한 분석
3. 지역효과모형에 따른 분석
1) 호텔
2) 콘도미니엄/유스호스텔
3) 여관
Ⅶ. 관광업(관광산업)의 외국인투자유치제도
1. 관광산업의 외국인 투자유치 현황
2. 문제점
1) 외자유치 촉진법 대상업종의 제한
2) 외자유치법의 한시성
3) 외자유치전문인력의 부족 및 지원활동의 미흡
4) 외국인투자지역 지정조건의 비합리성
5) 투자유치 관광프로젝트의 사업성 결여
3. 개선 방안
1) 수익성 높고, 외래객 유치에 필수적인 투자대상 사업의 발굴
2) 관광산업에 관한 외국인 투자 자유지역의 지정 도모
3) 관광분야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의 보강
4) 관광산업에 대한 외국투자 촉진 환경의 개선
5) 관련 정책활동의 활성화
Ⅷ. 관광업(관광산업)의 추진 전략
1. 수도권 관광숙박단지 조성
2. 외국인 투자여건 개선
3. 중소기업범위 확대 및 세제혜택 부여
4. 관광사업에 대한 금융혜택 개선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오늘날 세계 각국은 올림픽, 월드컵, 만국박람회(EXPO) 등 세계인에게 익히 알려진 대형행사는 물론 자국의 문화, 역사에 기반을 둔 각종 기념행사를 대대적으로 개최함으로써 인지도 제고 및 대량 관광객 유치에 힘쓰고 있다. 그 예로 프랑스는 프랑스혁명 200주년 기념행사를, 독일은 그림형제 탄생 200주년 기념행사(동화의 독일)를 대대적으로 거행, 큰 성과를 거두었으며 미국은 콜럼부스 신대륙발견 500주년 기념행사와 월드컵 축구대회, 스페인은 바르셀로나 올림픽과 세빌리아 만국박람회개최를 통해 대량 관광객 유치를 도모했다.
한편, 아시아 각국에서는 노골적으로 관광객유치를 겨냥한 각종 특별행사가 기획되고 있다. 태국이 가장 먼저 ‘태국 방문의 해’를 실시, 태국관광산업에 일대 전환점을 가져오는 큰 성과를 거둔 이래 말레이지아와 뉴질랜드가, 인도네시아와 인도가 이 사업을 실시, 가히 아시아 각국에 ‘방문의 해’바람이 불고 있다.
중국이 ‘중국친선방문의 해’라는 이름 하에 100가지 특별행사를 실시했고 ASEAN 6개국이 연합하여 ‘ASEAN 방문의 해’행사를 개최하였다. 우리나라도 한양 천도 60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 방문의 해’를 개최했다.
<중 략>
2. 관광객의 관광여행 일반적 사항에 대한 분석
관광여행 일반에 관한 사항은 방문지역, 방문횟수, 적당한 여행시기, 여행목적, 주된 교통수단, 여행동반형태에 관한 사항을 분석하였다.
각 방문지역의 방문횟수는 2-3회가 127명(42.1%)으로 가장 많았고, 5회 이상 84명(27.8%)로 기존 방문자들이 그 지역을 다시 재방문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행목적은 오락/유흥이 77명(25.5%)으로, 스포츠가 73명(24.2%), 휴양/보양이 70명(23.2%)으로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학술/연수/면회도 51명(16.9%)으로 순수관광 31명(10.3%)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기간과 연구대상자에 대한 영향으로 여행선호기간은 겨울이 102명(36.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느 계절에 관계없이 방문하기 좋다는 내용과 계절에는 관계없다는 내용의 대답은 95명(33.9%)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을 48명(17.1%), 여름 29명(9.3%), 봄 9명(3.2%)순으로 나타났다.
참고 자료
금기용(2009), 저탄소 녹색성장시대의 관광산업 신성장모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희수(2006), 관광산업정책의 변화방향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김덕기(2005), 관광산업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수급분석 및 대응방향,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리차드 티어 저, 이연택 역(1999), 국제관광산업전략, 일신사
이강욱(2011), 관광산업의 경제효과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관광연구원관광산업(2000), 업종별 경기분석 및 육성방안, 한국관광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