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Ⅱ. 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1.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현황
2.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문제점
Ⅲ. 결론
본문내용
유아특수교육은 일반적으로 취학 전 특수아동들에게 제공하는 특수교육을 의미한다. 그리고 특수아동이란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해서 특수교육 및 그와 관련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아동으로 정의된다.
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육의 역사는 매우 짧다고 할 수 있으며, 미국 등 외국의 발전된 이론과 실제의 도입 및 적용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우리나라에서 유아특수교육의 발전은 특수교육진흥법이 개정된 1994년 이후 1997년에 유아특수교육기관 설립을 위한 시설 및 설비 기준령이 발표된 때부터 시작되었다. 그 당시 “유치부만을 설치, 운영하는 특수학교(유아특수학교)”라는 명칭 하에 유아특수교육기관을 설립하기 위한 기준이 구축되고 실질적으로 만 3세에서 5세까지의 장애유아를 위한 무상교육이 실시됨으로써 본격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Bailey와 Wolery(1992)는 유아특수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첫째, 가족들이 그들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도록 지원한다. 둘째, 아동의 참여와 독립성, 그리고 습득을 촉진한다. 셋째, 인지, 언어, 신체, 심리-사회-정서, 신변처리 등 주요 발달영역을 촉진한다. 넷째,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형성하고 지원한다. 다섯째, 기술의 일반화된 사용을 촉진한다. 여섯째, 정상화된 생활경험을 제공하고 준비시킨다. 마지막으로 장애의 문제나 장애의 발생을 예방한다.
<중 략>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은 1994년 '특수교육진흥법' 개정을 통하여 통합교육의 법적인 지지가 이루어진 후 본격적으로 확대되었다. 하지만 통합교육의 확대와 더불어 적지 않은 부작용도 속속 드러나고 있다.
첫째, 비장애 학생과 그들의 학부모, 심지어 통합학급의 교사들까지도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비장애 학생들은 장애 학생을 왕따의 대상으로 생각하기 쉽고, 비장애 학생의 학부모들은 이들이 자기 자녀의 교육에 방해된다고 꺼린다. 교사들도 대체로 부담스러워 한다.
참고 자료
김소라 기자, 서울신문, ‘특수교사 부족… 장애유아들 “유치원도 못가요”’,2011
교육과학기술부, 2012 특수교육통계
박인아 기자, 에이블뉴스, ‘장애인특수교육법 시행 1년, 효력 미약’,2009
배연일, 경북일보, ‘장애학생, 통합교육만이 능사인가?’,2012
이병인, 「개정 전·후 특수학교 교육과정 비교분석 및 심층면담을 통한 효율적인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질적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제10권 제2호 (2010년 6월),서울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이병인,「유아특수교육(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의 실제 」,안산 : 국립특수교육원,2007
최혜경,「유아특수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 2000년~2009년 학위논문 중심으로 」,완주군 : 우석대 교육대학원,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