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깔(색상, 색채)의 분류, 색깔(색상, 색채)의 속성, 색깔(색상, 색채)의 표현, 색깔(색상, 색채)과 물체의 색, 색깔(색상, 색채)과 시각, 색깔(색상, 색채)의 감정효과
- 최초 등록일
- 2013.09.03
- 최종 저작일
- 2013.09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개요
Ⅱ. 색깔(색상, 색채)의 분류
1. 무채색
2. 유채색
3. 순색
4. 청색
5. 탁색
Ⅲ. 색깔(색상, 색채)의 속성
1. 색상(hue)
2. 명도(value/lightness)
3. 채도(chroma/saturation)
Ⅳ. 색깔(색상, 색채)의 표현
1. 중색과 혼색
2. 색의 대비
3. 밝다는 것은 어둠에서
4. 붓 자국의 리듬
5. 그림자의 표현
Ⅴ. 색깔(색상, 색채)과 물체의 색
Ⅵ. 색깔(색상, 색채)과 시각
Ⅶ. 색깔(색상, 색채)의 감정효과
1. 온도감
2. 운동감
3. 중량감
4. 경연감
5. 주목성
6. 명시도
7. 판독성
8. 기억색
9. 강약감
10. 색의 연상기분
1) RED
2) YELLOWRED
3) YELLOW
4) YELLOW GREEN
5) GREEN
6) BLUE GREEN
7) BLUE
8) BLUEPURPLE
9) PURPLE
10) RED PURPLE
11. 색의 상징적표정
1) RED
2) ORANGE
3) YELLOW
4) GREEN
5) BLUE
6) PURPLE
7) WHITE
8) GRAY
9) BLACK
본문내용
한국인만큼 의미에 민감한 민족도 없는 것 같다. 길상문(吉祥文), 십장생문(十長生文)을 생활 속에 가까이 사용한 것은 사용하는 물건의 실용적인 가치나 조형적인 특성(또는 시각적인 특성)보다는 어떤 의미성을 더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규수들이 사용했던 주머니에 박쥐무늬를 수놓았던 것은 박쥐가 천년을 장수한다는 의미를 강조했기 때문에 박쥐무늬가 수놓아진 주머니를 사용함으로써 장수한다는 의식에 동일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해(日), 구름(雲), 물(波), 소나무(松), 대나무(竹), 불로초(不老草), 사슴(鹿), 거북(龜), 학(鶴), 바위(岩) 등의 십장생문이 거의 대부분의 생활용품이나 건물 등에 중요한 형태로 등장하였던 것이다.(壽, 福, 康, 寧, 囍와 같은 문자문양도 등장하였다.) 사용한다는 실리적인 의식보다는 길상의 관념을 더 의식하고 동일화함으로써 실제로 복되고 장수한다는 의식세계에 안주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색채의 경우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색채에 있어서도 직접 감각적으로 쾌(快), 불쾌(不快), 또는 미적 감수성에 반응한다든지 하는 심리적 반응보다는 오히려 그 이면에 내재하는 관념(의미, 또는 상징성으로서 주로 음양오행적 우주관에 의해서 형성된 개념이다)을 더 중요하게 의식하고 표현하였던 것이다. 오늘날 우리의 의식 가운데에서도 색채를 생활화함에 있어서 반사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그 색을 사용하는 맹목적인 의미를 찾는 버릇이 있다. 색채를 사용할 때에 그것이 직접 우리의 감각에 와 닿는 감정이나 느낌에 순수하게 또는 솔직하게 반응하는 것보다 어떤 선입관화된 지식, 또는 관념(의미)과 결부시켜 어떤 의미를 확인하려는 버릇이 있다. 초등학교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감수성이 예민한 시기에 푸른색은 희망, 빨강은 정열, 사랑, 따위로 지식주입식의 잘못된 미술학습과도 전혀 무관한 것은 아니지만 더 근원적으로는 한국인의 비실리(非實利)적인 사고방식과 더 깊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 자료
권영걸 등 저, 이제는 색이다, 국제, 2002
길라 발라스, 현대미술과 색채, 서울 : 궁리출판, 2002
김진한, 색채의 원리, 시공사, 2002
메네다 코틴 저, 눈을 감고 느끼는 색깔여행, 고래이야기, 2008
요하네스 이텐, 김수석 옮김, 색채의 예술, 지구문화사, 1978
I.R.I. 색채 연구소, 유행색과 컬러 마케팅, 서울 : 영진닷컴,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