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방송(케이블방송, 종합유선방송) 특성,유선방송(케이블방송, 종합유선방송) 시장경쟁, 유선방송(케이블방송, 종합유선방송) 시장성과,유선방송(케이블방송, 종합유선방송) 정상화방향
- 최초 등록일
- 2013.09.03
- 최종 저작일
- 2013.09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목차
Ⅰ. 개요
Ⅱ. 유선방송(케이블방송, 종합유선방송)의 특성
Ⅲ. 유선방송(케이블방송, 종합유선방송)의 부진요인
1. 시행착오
1) 전송망 설치의 부진
2) 합유선방송의 주요 업무를 기술적인 것보다 방송제작의 측면을 부각
3) 마케팅의 문제
4) CATV 산업의 구조에 왜곡
2. 기존 방송개념에 의한 CATV 정책
3. 삼분할 체제
Ⅳ. 유선방송(케이블방송, 종합유선방송)의 시장행위
1. 경쟁 전략
2. 상품 전략
3. 가격 전략
Ⅴ. 유선방송(케이블방송, 종합유선방송)의 시장경쟁
Ⅵ. 유선방송(케이블방송, 종합유선방송)의 시장성과
Ⅶ. 향후 유선방송(케이블방송, 종합유선방송)의 정상화 방향
1. 승인 후 사후관리
1) 승인 후 방송구역별로 복수SO체제가 등장, 기존SO와 경쟁체제 형성에 따른 관리․감독 기능 강화
2) 2차SO구역 전환승인 이후 중계유선의 SO전환은 종결
3) 중계유선과 SO 간의 왜곡된 ‘협업’ 형태에 대한 제재조치 강화
2. 중계유선방송 허가추천에 대한 정책방향
1) 신규허가 추천
2) 재허가 추천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케이블 방송이 본방송을 시작할 당시에는 지역별로 나누어진 48개의 SO, 24개의 프로그램 공급사, 그리고 2 개의 전송망 사업자가 참여하였다. 초기 가입자는 약 10만 명이었던 것이 꾸준하게 증가하여 50만 명~100만을 달성하였다. 특히 1차로 지역 중계유선방송의 케이블 TV 방송사업자(SO) 전환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급격한 증가세를 보여 2배 이상의 가입자가 늘어났고 2차 전환이 이루어진 이후에 역시 약 200만 명이 증가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1000의 가입자를 확보, 전국적인 영상 서비스로 발전하였다.
가입자 증가세를 가입 대상 가구 수와 비교해 볼 때 이러한 높은 수치는 전체 가입 대상 가구 수의 64%에 이르는 것으로, 이제 국내 케이블 방송은 전체 국민의 2/3 정도가 시청하는 보편적인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는 평가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광주, 대전 등의 지역과 같이 전체 가입 대상 가구의 95%에 이르는 가구가 케이블 방송에 가입하고 있는 지역도 있고 적게는 전북이나 인천 등과 같이 35-45% 정도의 가구가 케이블 방송에 가입하고 있는 지역이 있는 등 지역별로 케이블 점유율이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케이블 방송 사업자(SO)의 수는 초기에 48개로 시작, 이후 77개로 증가하였고 이후 중계유선방송업자의 케이블 방송 사업자(SO) 전환이 이루어진 사이에 SO의 수가 더욱 늘어나 118개에 이르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 공급자(PP)의 수도 점차로 증가하여 출범 초기의 24개사에서 43개에 이르렀고 방송채널 사용사업의 등록제 실시로 인하여 방송채널 사용사업자가 급증, 94개가 신규로 등록하여 방송채널 사용사업자가 총 134 개에 이르렀고 이후 189개를 기록하고 있다. 이들 PP중 주요 45개의 현황을 보면 보도, 영화, 드라마, 음악, 연예 오락, 여성, 정보, 홈쇼핑 등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참고 자료
김대형(2006),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성장과 디지털 전환 현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김병일(2009),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지상파재송신과 저작권 쟁점에 관한 연구, 세창출판사
성낙일(2011), 우리나라 종합유선방송시장의 경쟁, 기술적 효율성 및 시장성과, 한국산업조직학회
이유숙(1989), 한국 유선방송의 기본육성정책에 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이진균(1993), 종합유선방송의 활성화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윤석중(1987), 유선방송산업이 정보통신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중앙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