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 의의,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 시각,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 결행,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 전개과정,과거청산운동
- 최초 등록일
- 2013.09.02
- 최종 저작일
- 2013.09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목차
Ⅰ. 서론
Ⅱ.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의미
Ⅲ.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의의
Ⅳ.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시각
Ⅴ.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시기구분
1. 초기 진압기
2. 중기 진압기
3. 말기 진압기
Ⅵ.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결행
Ⅶ.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전개과정
Ⅷ.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과거청산운동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아아!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주의 마침내 타도되다.
해방! 공출, 강제노역, 죽음의 공포로부터의 해방!
자유! 경제적ㆍ정치적 자유의 쟁취! 우리는 이제 더 이상 식민지 백성이 아니다.
건설! 자립적 민족경제, 독자적 민중권력의 건설!
타도! 친일파, 민족반역자, 일제 잔재의 타도!
‘8.15' 직후 한반도에는 해방의 기쁨과 변혁의 열기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었다. 민중은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위원회라는 중앙과 지방 수준에서의 민중정부를 조직해 나갔는데 이 정부는 극소수 민족반역자를 제외하고 양심적 민족주의자들까지도 광범위하게 포괄하고 있는 정부였다.
한편 노동자들은 일제 자본가가 도망함으로써 그 가동이 중단된 공장 및 생산설비를 접수하여 자주 관리해 나갔으며, 농민들 또한 자신들의 피와 땀이 어린 소출을 무위도식하는 지주에게 강제로 빼앗겨야 하는 소작료 납부를 거부하는 등, 문자 그대로 민족이 해방되고 민중이 주인되는 그러한 세상을 건설해 나가고 있었다.
제주도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제주 민중은 1945년 9월 10일, 각 마을, 직장 단위에서 자주적으로 조직되고 있던 청년대, 보안대 및 관공서, 기업체, 학교 등의 ‘000관리위원회', ‘000복구위원회' 등을 모태로 제주도 건준을 건설하였고 이와 함께 각 읍, 면, 리 단위의 인민위원회를 조직해 나갔다
제주도 인민위원회는 이후 사실상 제주도 전역을 지배한 ‘민중 정부'로서 상대적으로 온건한 정책의 실시, 민중 생존권과 치안의 확보를 위한 일제 잔류군과의 투쟁 등으로 제주 민중의 적극적 지지를 얻을 수가 있었다.
“해방 당시에는 옳은 일이라는 생각에서 전부가 ‘건준'이나, ‘인민위원회'로 들어갔소. 이것을 정식 우리 정부라 생각했고, 합법 정부라 생각했지. 우리같이 일제에 협력했던 사람들은 인민위원회에 들여주지도 않았소." - 제주4ㆍ3연구소 채록 -
참고 자료
김종민(1998), 제주 4·3항쟁, 한국역사연구회
양정심(2006), 미군정·이승만 정권의 제주4·3항쟁에 대한 인식, 한국근현대사학회
양정심(1995), 제주4·3항쟁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양정심(2007), 4.3항쟁과 남로당 제주도당, 수선사학회
허상수(2004), 국가폭력과 제주4·3항쟁, 한국사회학회
Chang Hoon Ko(2004), 제주 4,3 항쟁에서의 미국정부의 책임, 한국지방정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