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운동과 대안미디어 : 공동체라디오가 나아가야 할 방향
- 최초 등록일
- 2013.09.02
- 최종 저작일
- 2012.12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1. 라디오의 의의 및 정의
2. 공동체 라디오란?
3. 공동체 라디오 해외사례
4. 공동체 라디오 국내현황
5. 공동체 라디오가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1. 라디오의 의의 및 정리
라디오란 전파에 의한 음성방송과 이를 수신하는 기기를 가리킨다. 사용하는 전파에 따라 중파방송•단파방송•초단파방송 등의 종류가 있으나, 단파방송은 주로 해외방송에 쓰인다.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송은 중파방송으로, 이를 표준방송이라고도 한다.
음성을 전파에 싣는 변조방식에 따라 AM(amplified modulation)방송과 FM(frequency modulation)방송으로도 구별한다. AM은 진폭변조방식이며 중파를 사용한다. FM은 주파수변조방식으로 초단파(VHF:very high frequency)를 사용한다.
세계 최초의 방송은 1920년 11월 방송을 시작한 미국 피츠버그의 KDKA국을 꼽는다. 한국 최초의 방송은 1927년 2월 경성방송국에 의하여 개시된 JODK 방송이다. 호출부호상 대한민국 국적으로 정식 방송을 시작한 것은 1947년 10월 2일부터의 HLKA국이다.
<중 략>
지역민들이 직접 운영하고, 제작하는 라디오-문화(상징)생산을 주도하기 위해, 지역민들의 의사소통채널이 되고 공적 영역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앞으로 공동체라디오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
우선, 협찬 고지 수입을 확보하는 방안이 우선이다. 출력 증강, 지역민의 관심 증대, 후원 등을 확보하여야 한다. 특히 외국의 사례에서 보았듯이, 인근 기업의 후원 및 지원에 대한 증대가 필요하다. 최근 기업의 사회적 활동 및 축제, 이벤트, 문화행사, 스포츠를 통한 지역 밀착형 활동이 늘어난 가운데 공동체라디오 또한 이에 맞춰 공적인 이익이 아닌 사적 이익을 충족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담는 채널로써 부상해야 한다. 이에 따라서는 웹사이트와 모바일 웹/어플리케이션 등의 구축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스마트폰 안에 내장된 GPS 기능에 따른 광고 수익 등과 지역 커뮤니티로의 발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http://blog.daum.net/kcc1335/1655, 두루누리 - 방송통신위원회 공식블로그
‘소출력 공동체 라디오 방송’ 마포 FM 평가에 관한 연구, 2006
시민미디어로서의 공동체 라디오, 김선희, 2009
공동체라디오의 역할과 전망, 이만제, 2007
공동체라디오 사업, 필요하다면 정부 지원 절실, 뉴스핌, 2011/11/24
재난대처에 공동체 라디오가 중요한 까닭, 연합뉴스, 2011/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