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수익률(주식수익, 주가수익, 주가수익률) 변동성, 시간가변성, 주식수익률(주식수익, 주가수익, 주가수익률) 장기기억효과, 확률과정, 주식수익률(주식수익) 분산투자,측정 사례
- 최초 등록일
- 2013.09.02
- 최종 저작일
- 2013.09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Ⅱ. 주식수익률(주식수익, 주가수익, 주가수익률)의 변동성
Ⅲ. 주식수익률(주식수익, 주가수익, 주가수익률)의 시간가변성
Ⅳ. 주식수익률(주식수익, 주가수익, 주가수익률)의 장기기억효과
Ⅴ. 주식수익률(주식수익, 주가수익, 주가수익률)의 확률과정
1. The Markov Process
2. Wiener Process
3. Ito Process
Ⅵ. 주식수익률(주식수익, 주가수익, 주가수익률)의 분산투자
Ⅶ. 주식수익률(주식수익, 주가수익, 주가수익률)의 유상증자
1. 투자기회가설(investment opportunity hypothesis)
2. 정(+)의 레버리지가설(positive leverage hypothesis)
3. 대체성 가설(substitution hypothesis)
4. 효율적시장가설(efficient capital market hypothesis)
Ⅷ. 주식수익률(주식수익, 주가수익, 주가수익률)의 측정 사례
Ⅸ.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Rozeff 와 Kinney는 NYSE에서 거래되는 주식들의 월별 수익률이 년 중 차이를 나타내며 특히 1월 달의 수익률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뚜렷한 큰 차이가 발생함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수익률의 계절성이 기업규모효과와 관련이 있고 기업규모효과의 뚜렷한 특징이 된다는 사실이 Keim에 의하여 제기되었는데 Keim은 17년동안에 걸쳐 CRSP에 기록된 수익률에 대해 기업규모별로 10개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각 포트폴리오별로 계절성을 검증한 결과 1월의 초과수익률의 분포가 다른 달의 그것보다 컸으며 기업규모와 주식수익률의 부의 관계가 1월에 더욱 현저하다고 결론지었다. 즉 거의 50%정도의 기업규모이상현상이 1월에 나타나며 1월중에서도 약 50%정도가 첫 주에 발생하고 그 중에서도 첫 날에 특히 강하게 나타남을 입증하였다.Keim은 이러한 1월 효과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하여 절세목적매도와 정보가설로서 설명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1월 효과는 경제적인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라 파생증권 연도말에 상장과 상장폐지가 집중되는 현상 또는 데이터상의 오류 등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Keim은 기업규모효과에 계절성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지만 1월 효과가 존재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완전하게 설명하고 있지는 못하다.
Gultekin & Gultekin은 미국을 비롯하여 영국, 독일, 호주, 일본 등 17개국을 대상으로 하여 자본시장에 계절성이 존재함을 보였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1월의 수익률이 높음이 밝혀졌으나 이러한 계절성이 기업규모와 관련된 것이라는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
Kato & Schallheim은 일본의 증권시장을 대상으로 1월 효과와 기업규모효과가 존재하는가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서 일본에는 1월-기업규모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일본의 1월-기업규모효과는 미국의 그것과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유사성은 자본시장이 국제적으로 잘 접합된 시장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참고 자료
김광남 - 기업합병과 주식수익률 행태,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1991
김진우 외 1명 - 배당과 주식수익률 간의 관계 검증, 한국금융공학회, 2011
곽병관 - 유동성과 주식수익률의 관계에 대한 분석, 충북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0
임석필 - 주식수익률 변동성의 특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산업연구소, 2010
박종원 외 1명 - 정보위험과 주식수익률 프리미엄, 한국재무관리학회, 2010
정완호 외 1명 - 주식수익률 변동성과 기업의 신용상태, 한국파생상품학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