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 문제와 미국의 대응 – 전쟁위기설을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03.01.15
- 최종 저작일
- 2003.01
- 11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1. 서론
1)연구 배경
2)연구 문제
2. 본론
온건파와 강경파
1) 온건파의 논리와 북한 핵 문제에 대한 대응
2) 강경파의 논리와 북한 핵 문제에 대한 대응
상황분석
미국 내에 강경론이 우세하면서 세계적으로 전쟁위협이 고조된 경우
반론
3. 결론
본문내용
연구 배경
최근 북한이 비밀 핵무기개발 계획을 추진 중이라는 사실을 시인한 이후 이에 대해 각국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국, 미국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 러시아 등의 국가에서도 성명을 발표하는 등 북한 핵 문제는 세계적인 이슈로 떠올랐다. 이에 대해 미국 언론들은 북한이 미국과 1994년에 맺은 제네바 기본합의를 위반하고 핵무기 비밀계획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미국 행정부는 핵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경제원조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물론 모든 기사들은 한국 언론 혹은 미국언론의 시각에서 본 것을 중점적으로 보도한 것이기 때문에 이것들은 2차 자료이고 모든 것이 사실과 같다고 판단하기는 힘들다. 그러면 과거에는 이와 같은 북한 핵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지 않았을까? 물론 대두 된 바 있었다. 바로 1990년대 초반에 북한 핵 문제가 세계의 시선 집중을 받은 적이 있었다. 그 당시 미국은 미국의회에서 계속적인 청문회 활동을 하는 등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그 와중에 1994년에는 한반도에 전쟁위기설까지 나올 정도로 심각한 반응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1994년에 북한 핵과 관련한 한반도 상황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 이삼성, ‘한반도 핵문제와 미국외교’, 한길사 1994
- 중앙일보 사이트, 조선일보 사이트, kormid 사이트
- 이호재, ‘통일 한국과 동북아 5개국 체제’, 화평사 1997
- 리언 시걸, ‘미국은 협력하려 하지 않았다’, 사회평론 1999
- 미국 청문회 자료 (199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