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태아순환
-태아는 자궁내에서 폐가 호흡기관으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태반을 통해서 산소를 받아들임.
-1개의 제대동맥(umbilical vein, PO2= 40mmHg)을 통해 하대정맥으로 들어가 일부는 간을 통과하고, 대부분은 정맥관(Duckus Venosus)를 통해 하대정맥으로 들어감. (태아의 하지, 복부, 골반을 순환한 CO2를 지닌 혈액과 섞임)
-하대정맥으로부터 우심방으로 흘러가고 난원공을 지나 좌심방으로 통과.
(여기에서 폐정맥을 통해 폐로부터 돌아오는 소량의 CO2를 가진 혈액과 섞임)
- 그 후 좌심실로 가서 대동맥으로 나와(이 결과로 심장, 머리, 목, 상지에 있는 혈관은 O2가 풍부한 혈액을 받음) 상지와 뇌를 순환한 혈액은 상대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들어옴.
-이 혈액이 우심실로 가서 폐동맥을 통해 나가며 대부분 동맥관(Ductus Arteriosus)을 통해 대동맥으로 가서 하지와 몸통(산소포화도 약 58%)을 통해 내장골 동맥과 하복부동맥에서 제대동맥을 거쳐 태반으로 들어감.
<태아가 혈액공급 받기 위한 특성>
1) 태아심음(fetal heart rate) : 120~160회/분
2) 심박출량(cardiac output) : 약 350~500㎖/kg/분
3) 태아의 헤모글로빈은 산소분압 (PO2)이 낮은 상태에서도 고농도의 산소혈액을 유지할 수 있어 모체의 헤모글로빈보다 20~30%의 산소를 더 운반할 수 있다.
(태아 혈액은 산소와의 친화력이 강하고 모체는 태아보다 CO2친화력이 더 높기 때문)
4) 태아의 헤모글로빈 농도는 임부보다 약 50% 더 높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