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텔레비전 드라마 장르비평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작성하였으며 드라마를 예시로 하여 살펴본 자료입니다.목차
Ⅰ. 장르비평이란?1. 장르란?
2. 장르의 역할?
3. 텔레비전 장르의 존재 이유
4. 장르 비평
Ⅱ. 텔레비전 드라마의 장르 구분
1. 방송형태에 따른 분류
2. 드라마 성격에 따른 분류
3. 요즘 드라마 경향에 따른 새로운 분류
Ⅲ. 텔레비전 장르 비평
1.사회적 상황에서 연관성 찾기
2. 산업/ 제작적 관점에서 비평
3. 역사학적 비평
4. 작가비평
Ⅳ. 특정 장르 선택하여 집중적인 비평(드라마 "내이름은 김삼순"을 중심으로)
1. 장르 혼합
2. 인물 변화
3. 표현의 솔직함
ⅴ. 결론
본문내용
1. 장르란?장르란 형태나 종류를 뜻하는 불어다. 텍스트의 분류는 학문의 영역 뿐 아니라 모든 종류의 텍스트를 이해하는 기본적인 과정이다. 앨트먼은 `장르적 수용자`가 장르에 기반을 둔 시청에 참여할 수 있을 만큼 장르에 친숙한 사람들이고, 장르의 규범을 존중하지 못하는 데서 사람들은 `장르적 긴장`을 느낀다고 말한다. 미술, 문학 등의 다른 예술 분야에서의 장르 구분은 명확하고 비교적 고정적인데 반해 장르는 끊임없이 생겨나고, 파괴되고, 합쳐지는 특징, 즉 유동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장르의 역할?
장르는 예비 시청자에게 정보를 주는 중요한 수단이다. 예고나 TV 가이드에 실린 내용, 등장인물에 대한 문화적인 지식이나 텍스트에 대한 경험으로, 장르는 시청자가 예상할 수 있게 도와준다. TV 시청자에게 TV텍스트가 어떻게 구분되고 선택되고 이해되는가에 있어 장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텔레비전 장르의 존재 이유
(1) 텔레비전은 매일 혹은 매주 같은 제목 아래 다른 내용을 펼쳐야 하기 때문에 장르를 지닌다.(장르를 산업적 필요성으로 설명하는 방식)
(2) 대중에게 성공적으로 호소했던 스토리와 테크닉을 반복해 성공의 확률을 높이는 것도 장르의 존재이유이다. (성공을 거둔 장르적 관습과 내용의 반복 ex:속편제작)
(3) 이미 제작된 프로그램들에 익숙한 시청자들은 새로움을 원하면서도 놀라울 정도로 새로운 내용이 나타나면 어리둥절해 한다는 것도 장르의 존재 이유이다. 제작자와 수용자 간에 이미 소통하는 방식이 합의되어 있는데 그것을 구태여 깰 필요가 없다.
⇒ 따라서 시청자들에게 빈번하게 색다름을 선사하지 못하고 비슷한 제작관습과 내용을 내놓는 텔레비전이야말로 가장 장르적인 매체 혹은 장르매체라고 불릴 수 있다.
4. 장르 비평
장르는 텍스트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하지만, 산업과 수용자 사이의 상호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각각의 장르가 갖고 있는 관습을 이해하면, 보다 폭넓게 드라마를 비평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주창윤 최영묵. (2001),『텔레비전 화면깨기』, 한울.김연진. (2004),『김연진 교수의 TV 드라마의 세계』, 도서출판 박이정.
원용진. (2000),『텔레비전 비평론』, 한울.
황인성. (1999),『텔레비전 문화연구』, 한나래.
백선기. (2002),『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장기오. (2003),『TV 드라마 바로보기, 바로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최미애. (1995),『장르 비평 Genre criticism 에 대한 연구』, 동국대대학원.
원정현. (1997),『한국 사회의 가치관 변화와 TV 멜로드라마의 관계연구 ‘모래성’과‘애인’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언론대학원.
유병철. (2005/07/06), 「우리가 삼순이에게 열광하는 5가지 이유」, 브레이크 뉴스.
이은주. (2005/07/22), 「‘삼순이’ 무엇을 남겼나」, 마이데일리.
김진철. (2005/07/27), 「삼순이가 바꾼 3가지 공식」, 한겨레.
김진철. (2005/06/16), 「100˚ 대중문화 스타일 섹션/ MBC드라마‘내 이름은 김삼순’ 왜 뜨나」, 한겨레.
손봉석. (2005/09/26), 「‘내 이름은 김삼순’인기는 ‘복제’와 ‘반동’」, 경향신문.
서병기. (2005/06/28), 「[대중문화프리즘]삼심다니엘 라인 왜 나왔지」, 헤럴드 경제.
김율리. (2005/07/30), 「[발언대]‘내 이름은 김삼순’신드롬이 남긴 것」, 조선일보.
홍지민, (2005/06/09), 「주말매거진 We★들에게 물어봐/‘내 이름은 김삼순’인기비결은」, 서울신문.
강명석. (2005/08/09), 「[SS Week!]가능한 변화들내 이름은 김삼순(2)」, Freechal 커뮤니티. http://home.freechal.com/triplecrown
이인표. (2005/07/25), 「멜로드라마 결말이 진화한다.」, 문화일보.
손원제. (2004/12/07). 「한국 드라마 리얼리즘 어디 갔소 」, 한겨레.
김연실. (2006/04/02), 「임성한과 노희경 작가의 너무나 다른 ‘비밀’」, 오마이뉴스.
배국남. (2006/03/06), 「양극단의 두 작가, 노희경vs.임성한」, 마이데일리.
이준목. (2006/03/30), 「2006 드라마, 여전히 사랑밖에 난 몰라 [TV비평] 애정 이야기 반복, 제대로 된 작가 시스템 부재가 원인」, 오마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