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5 민족해방운동과 통일운동전선
- 최초 등록일
- 2013.08.07
- 최종 저작일
- 2012.03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제 18장 민족해방운동의 발전
1. 파쇼적 지배와 수탈방식의 전환
2. 대중운동의 고양과 사회주의운동
3. 국외 민족해방운동
제 19장 통일전선운동과 민족해방의 준비
1. 파쇼적 총동원체제와 민족말살정책
2. 국내의 민중 생존권투쟁과 통일전선운동
3. 국외의 통일전선운동과 무장투쟁
4. 민족해방의 준비와 독립국가 건설론
본문내용
세계대공황과 일제의 만주침략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상품의 생산은 증가하고, 대중의 구매력은 저하되면서 생산과 소비의 극심한 불균형이 야기되었고, 이로써 세계대공황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제국주의 국가간의 대립은 심화되었고, 특히 타격이 컸던 일본은 정치, 경제적 위기의 돌파구로서 국제연맹을 탈퇴, 대륙침략을 감행하여 만주 및 상해 등을 침략하였고 각종 경제통제를 실시, 국가독점자본주의로 이행하였다.
민중운동의 탄압과 민족․계급분열정책의 강화
일제는 조선을 침략전쟁을 위한 전진기지 및 안정한 독점자본 수탈지로 삼기 위해 민족해방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는 파쇼적 지배정책을 시행하고 지방자치제도 실시 및 관제 농민단체 육성 등을 통해 조선의 민족과 계급을 분열하는 정책을 강화하였다.
수탈방식의 전환과 각 계급의 동향
만주 침략 이후, 일제는 조선에서 공업화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일본 독점자본에 유리한 투자시장을 확보하려 하였다. 일본 독점자본에게 각종 이득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조선 진출을 장려하였으며, 이에 조선인 자본은 점차 위축되었다. 이 가운데 만주침략에 편승, 개척 및 투자로서 성공한 조선인 자본가도 있었으나, 노동자들은 힘든 육체노동을 강요 받으며 극히 적은 임금을 받는 증 민족적 차별을 당하였다.
한편 일제는 일본 농촌의 입지가 위기에 처하자1934년 산미증식계획을 중지하면서 조선 쌀 수탈정책을 수정, 농촌진흥운동을 추진하였고, 이 운동을 통해 조선 농촌이 망한 원인을 농민들의 게으름으로 돌렸다. 또한 이들은 소작쟁의가 조직적인 농민운동으로 발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등, 각종 정책을 시행, 일제 금융자본의 농촌 지배를 심화시켰다. 이에 조선인 지주들이 몰락하고 농민은 독점 자본 및 각종 수탈로 더욱 열악한 환경에 놓이게 되어 이 중 다수는 만주와 일본으로 이주하기도 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