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독일경영학의 특징
1. 규범론적 방법
2. 기술론적 방법
3. 이론적 방법
4. 비판적 방법
Ⅳ. 독일경영학의 전개
1. 제 1차 방법논쟁
2. 제 2차 방법논쟁
3. 제 3차 방법논쟁
4. 현대의 독일 경영학
Ⅴ. 독일경영학의 신동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산업시대의(기업을 이루는 조직의 자원은 물리적 자원, 재정적 자원, 그리고 인적자원 등 3분야로 나눌 수 있다(Gilley & Eggland, 1989). 이 가운데 인적자원의 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 이하 HRD)을 다루는 것이 바로 기업 교육부문이며 그 근간을 이루는 것이 공학적인 접근이라고 볼 수 있다. 즉, HRD는 교육훈련(Training & Development), 조직개발(Organizational Development), 경력개발(Career Development) 등 크게 3부문으로 구분하는데, 이 가운데 교육공학이 영향을 준 부문은 바로 교육훈련 분야인 것이다.
교육공학이 기업 경영에 미친 여러 가지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경영과 교육의 전략적 연계이다. 즉 기업 내에서 교육공학은 ISD 접근방식을 통해 경영전략과 교육전략을 접목시켜 교육이 “경영의 성과를 창출하는 구체적인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 것이다. 기업이 제한된 인적 자원을 중심으로 전략적인 경영을 시도해 나아가고자 할 때, 기업내 교육은 경영상의 요구를 대응해 나가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 것이다. 즉, 회사의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What should be)과 현재 수준(As is)의 차이를 밝혀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대부분 교육을 활용하게 되었으며, ISD와 같은 교육공학적 접근방법은 필요한 인재양성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공급해 주는 강력한 수단으로 자리 매김이 된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기업마다 수준의 차이는 있다. 교육공학이 기업에 접목, 정착되고 있는 수준은 일부 대기업이라 볼 수 있고, 많은 기업이 교육여건, 조직의 규모, 교육 노하우 축적면에서 아직도 초보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보여 진다.
참고자료
· 박성환, 이준우, 경영학의 탐색, 법문사, 2011
· 은하출판사 편집국, 핵심 경영학개론, 은하출판사, 2012
· 조희영, 독일비교경영학의 동향, 세계평화교수협의회, 1976
· 한희영, 독일경영학계동향, 고려대학교, 1968
· 한의영, 독일경영학의 체계 및 방법론 비교, 한국사회과학연구원, 1966
· Horst Albach, 독일과 미국의 경영학의 발전, 한독경상학회, 198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