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개념과 현황
1. 만성질환의 개념
2. 만성노인질환
3. 우리나라 만성노인질환의 현황
4. 가족의 부양부담
II. 만성질환노인에 대한 국내 사회복지서비스의 실태
1. 제도적 근거
2. 기관 현황 보건복지부, 2011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3. 만성질환노인을 위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III. 만성질환노인에 대한 국내 사회복지서비스의 문제점
IV. 개선방안
1. 제도개선과 지역사회노인의료사회사업 체계의 구축
2. 의료사회사업의 교육과 홍보활동
3. 입원전 상담절차 마련 필요
4. 만성질환노인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의 활성화
5. 의료사회복지사수의 확충과 역할의 전문성 확립
6. 노인병원에 대한 편견해소
7.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수퍼비전 프로그램 개발
본문내용
현재 우리나라는 노령화로 인해 만성질환의 종류 및 만성질환자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만성질환은 그 특성상 치료보다는 어떻게 잘 관리하고 돌보는가 하는 케어(care)가 더 중요하며 그 영향이 환자 뿐 아니라 가족 및 주위에까지 미치므로 만성질환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만성질환에 대한 정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만성질환노인을 위한 의료사회복지실천 모형개발, 왕경희, 2005
만성질환 개념으로 미국 만성질환 위원회(The National Commission on Chronic illness)에서는 “만성질환이란 다음의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특징을 지닌 모든 손상이나 정상적인 상태로부터의 일탈을 말한다. 즉 영속적이고 부분적 장애를 남기며, 돌이킬 수 없는 병리학적 변화에 의해 야기되고, 환자의 재활을 위해 특별한 훈련이 필요하며, 장기간의 감독, 관찰, 혹은 보호가 필요한 경우”로 정의한다. 보건복지부는 만성질환을 성년기 이후에 점차 많이 발생하는 비전염성의 만성, 퇴행성 질환, 상병, 불구, 무능력상태 및 기능장애들로 정의한다.
Rolland는 만성질환에 있어 유형화와 시기적 국면을 설명하고 있다. 만성질환에 대한 유형화는 ①발병의 특성(급성,점진적) ②질병의 과정(진행성, 지속성 혹은 재발성) ③질병의 결과(치명적, 수명단축, 비치명적) ④기능상실의 유무에 따라 분류되었다. 이 분류는 전통적인 의학적 치료나 예후적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 아니라 환자의 역동이나 가족과 질병과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 임상적 목적과 연구 모두에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만성질환노인을 위한 의료사회복지실천 모형개발, 왕경희, 2005, p. 14~16
Rolland의 만성질환에 대한 두 차원에서의 접근은 사회복지사가 서비스를 구조화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질환의 특성에 따라 다른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집단을 구성하고 계획할 수 있다. 질병의 유형에 따라 집단서비스를 구성하는 것은 집단의 주제와 관련하여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비용효과적이며 또한 다음 과정에 대한 예방적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실천에 많은 함의를 지닌다.
참고 자료
노인만성질환자의 우울, 스트레스와 약물처방치료, 염현이, 2005
노인전문병원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이정은, 이화여자대학교, 2000
만성질환노인을 위한 의료사회복지실천 모형개발, 왕경희, 2005
만성질환입원 노인환자 주간호가족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김창선, 1998
원예치료시 레몬향 처리가 만성질환노인의 정서안정에 미치는 영향, 임점옥, 2005
의료복지시설의 관리프로그램 접근에 관한 연구, 한동희, 한국노년학연구회, 1998
200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보건복지부, 2011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법제처 홈페이지
서울동부노인요양센터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