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문장의 이해와 구조
- 최초 등록일
- 2013.07.25
- 최종 저작일
- 2013.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영어문장분석의 기본단위인 구성소(constituent)의 개념과 문법범주(grammatical category), 문장의 구조가 구표지(phrase marker)라 불리는 수형도(tree diagram)로써 형식화되고, 이 수형도가 구구조규칙에 의해 어떻게 생성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구성소
1-1 구성소(Constituent)
1-2 문장의 계층성(hierarchity)
1-3 구성소 판별법(constituency test)
1-4 수형도
1-5 표지붙은 괄호법(labelled bracketing)
1-6 관할(Dominance)
1-7 성분통어(Constituent Command; C-Command)
1-8 선행(Precedence)
1-9 교차분지제약(No Crossing Branches Constraint)
2. 수형도의 적용
2-1 주어 - 동사의 일치
2-2 대용어(anaphor)
2-3 재귀대명사와 선행사
2-4 대명사(pronoun)
본문내용
영어문장분석의 기본단위인 구성소(constituent)의 개념과 문법범주(grammatical category)등을 소개하고 화자의 직관적 언어지식과 여러 문법현상의 존재를 살펴보고, 문장의 구조가 구표지(phrase marker)라 불리는 수형도(tree diagram)로써 형식화되고, 이 수형도가 구구조규칙에 의해 생성됨(generate) 등 용어를 예문을 들면서 설명하겠다.
1. 구성소
1-1 구성소(Constituent)
문장을 구성하는 각기 다른 성질을 갖는 여러 범주의 구성단위를 말한다. The boy will stay in the house. 에서 화자들의 이러한 직관은 문장의 구조적 성질을 반영한 것이며, 각 단어와 나누어지는 단위들은 구성소가 된다.
ex) - the boy, will stay in the house, stay in the house, in the house등은 구성소이나,
- boy will, will stay, stay in, in the등은 인접해 있긴 하나 구성소가 될 수 없다.
<중 략>
1-5. 표지붙은 괄호법(labelled bracketing)
문장을 수형도 방식 외에 동일한 정보로 나타낼 수 있는 괄호법으로 아래와 같이 나타내 준다.
ex) S[NP [Det[The] N[boy]] Aux[will] VP[V[stay] PP[P[in] NP[Det[the] N[house]]]]].
1-6 관할(Dominance)
절점 X가 절점 Y를 관할한다는 것은 수형도상에서 X가 Y위에 있다는 뜻이다.
수형도의 S는 나머지 모든 절점을 다 관할하고, VP는 V, PP, P, NP₂등을 관할하지만 Aux, NP₁을 관할하지는 않는다. 또한 V는 NP₂를 관할하지 않는다.
(ex) The woman will stay in the house.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