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 제조물책임법(PL법), 정보화,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 해외이전 동향 및 요인,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 인적자원, 향후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 방향
- 최초 등록일
- 2013.07.22
- 최종 저작일
- 2013.07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7,500원
목차
Ⅰ. 서론
Ⅱ.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의 제조물책임법(PL법)
1. 제조물책임과 중소기업
1) 자금의 부족
2) 취약한 사전 교섭력
3) 제조원가의 부담
4)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협력관계 악화
5) 기술혁신 활동의 위축
6) 높은 보험 부담금
7) 정보능력의 부족
8) 사후관리 능력의 부족
2. 제조물책임법 시행에 대한 국내 중소기업의 대비 현황
1) 주요 내용에 대한 인지도
2) 시행시기에 대한 인지도
3) 법 내용 전문 확보 여부
4) 제조물 책임 대책 조직구성 유무
5) 현재의 제조물책임 대책 추진 현황
6) 제조물책임법 시행시점에서의 자사의 대응 예상수준
7) 제조물책임배상보험 가입 유무
3. 중소기업의 제조물책임 대응력 강화 제고 방안
1) 정보제공
2) 중소기업전용 제조물책임보험제도
Ⅲ.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의 정보화
1. 정보화수준 평가모형 개요
2. 정보/통신인프라수준 평가모형
1) 정보생성/가공 능력
2) 정보저장/검색 능력
3) 사내의 정보유통 능력
4) 고객/협력업체와의 정보유통 능력
5) 정보/통신인프라 관리능력
3. 업무적 정보화수준 평가모형
4. 전략적 정보화수준 평가모형
1) 업무품질혁신
2) 고유기술보편화
3) 업무처리속도혁신
4) 의사소통/협동증진
5) 업무일관화/통합화
5. 정보화수준 평가모형의 활용
Ⅳ.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의 산업공동화
1. 설비투자 및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2. 투자부진 및 해외이전의 요인
Ⅴ.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의 해외이전 동향 및 요인
1. 중소기업의 해외이전 동향
1) 중소기업의 해외투자 추이
2) 중소제조업 해외이전 실태와 전망
2. 중소기업의 해외이전 요인
1) 내적 요인(Push factor)
2) 외적 요인(pull factor)
3) 중소제조업 해외투자 실태조사의 시사점
Ⅵ.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의 설비투자
Ⅶ.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의 인적자원
1. 일반사항
2. 인적자원 보유현황
3. 인적자원 관리부문
4. 채용
5. 교육훈련
Ⅷ. 향후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의 방향
1. 생산성향상을 위한 생산관리시스템
2. 중소제조기업(공장)을 위한 생산성향상기법
Ⅸ. 중소제조업(중소제조기업)의 경기전망
1. 중소기업 경기전망
2. 주요 경제지표 전망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제품의 가격으로 표현되는 효율성(efficiency)이 전통적으로 기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경쟁의 기준이었다. 1950년대 까지는 가격이 고객에게 가장 영향을 끼쳤으며 1960년대에는 가격과 더불어 품질(Quality)이 점점 중요하게 되었으나 이때까지는 효율성이 그 경쟁적 기반을 상실하지는 않았다. 즉 가격만으로는 경쟁에서 충분하지 않아서 고품질의 제품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말에 와서는 제3의 경쟁요소인 유연성(flexibility)이 등장하게 되어 가격과 품질만으로는 더 이상 경쟁의 필요충분조건이 되지 않았다. 이러한 효율성과 품질 그리고 유연성을 요구하는 시장수요의 변화는 근본적으로 경쟁상황을 변화시켰으며, 경쟁상황의 변화는 기업전략에 변화를 가져와 경쟁우위를 유연성을 중심으로 정보와 경쟁력의 통합, 유연한 조직체(flexible organization), 진보된 기술로 이동시켰다. 특히 생산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생산전략 수립과정에 경영자의 전략적 역할이 증대될수록 기업의 경제적 성과가 제고되며, 또한 불확실한 생산환경하에서는 생산시스템의 유연성이 강조되어야 함이 지적되고 있다.
<중 략>
ㅇ 새해 경제성장률(GDP기준)은 3.7%(최저 3.5%, 최고 4.0%) 전망, 이는 한국경제연구원(4.9%), LG경제연구소(4.6%)에 비해 상당히 낮아 중소기업은 새해에도 경기부진이 예상되기 때문임.
ㅇ 새해 환율(대미달러 기준)은 1,033원으로 전망, 이는 한국경제연구원(1,006원), LG경제연구소(1,005원)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전망
ㅇ 새해 국내경제상황은 금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일 전망, 국내경제전망지수는 98로 100을 밑돌아 금년과 비슷 전망
ㅇ 내수불황에 대한 회복 시기는 내년 하반기 이후로 전망, 내수불황 회복 시기에 대해 하반기(35.6%)가 가장 많고, 불투명(32.7%), 상반기(17.2%) 순으로 나타나 내수의존도가 높은 중소기업의 내수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
ㅇ 내년도 경제 불안 요인으로 고유가, 정치불안 등을 예상, 새해 경제불안 요인으로 고유가(31.6%), 정치불안(15.8%), 민간소비 둔화(14.2%), 정부정책 혼선(10.5%) 순으로 예상
참고 자료
김종만(2007), 제조업 공동화에 따른 중소제조업 육성정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창수 외 1명(2011), 우리나라 중소 제조업의 생산성 성과와 그 결정요인, 한국중소기업학회
양평식(2005), 중소제조업 공동화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정태일(2005), 중소제조업의 성과결정요인, 영남대학교
최광문(2007), 중소제조업의 인력 현황 및 향후 정책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현기 외 1명(2009), 중소제조업의 성과평가를 위한 성과측정지표 설계 방법, 한국산학기술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