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 필요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 영상운동,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진상규명 방향,제주 43사건 진상규명한계
- 최초 등록일
- 2013.07.20
- 최종 저작일
- 2013.07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필요성
Ⅲ.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문화운동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영상운동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다랑쉬굴
1. 경찰과 행정기관의 ??다랑쉬굴 사건??역사 왜곡
2. 다랑쉬굴 유해 발굴 그 후 10년
Ⅵ. 향후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방향
Ⅶ.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한계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960년 4ㆍ19혁명은 한국전쟁과 이승만 반공독재체제하에서 도민들이 국가에 대하여 가졌던 공포감, 불만을 한꺼번에 분출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4ㆍ19가 일어나자 10여 년간 입을 굳게 다물었던 제주 4ㆍ3사건 피해유족들은 거리낌 없이 자신들의 경험을 털어놓았다.
1960년 5월 23일 국회 차원에서 거창ㆍ함양 등지의 양민학살사건에 관한 조사단이 구성되자, 제주 출신 국회의원들의 발의로 제주 4ㆍ3사건의 진상도 조사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움직임과 함께 제주대학 학생 7인은 ‘제주 4ㆍ3사건진상규명동지회’를 결성, 자체 조사에 나섰고, 모슬포 지역 주민들은 진상조사 촉구 결의대회를 개최하였다. 국회는 제주출신 국회의원의 문제제기와 제주도민의 요구를 수렴, 경남반(경남지역 조사반)의 조사지역을 확대하여 6월 6일 하루 동안 제주 4ㆍ3사건의 진상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중 략>
셋째, 국회는 조속히 ‘제주 4 3진상규명 특별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진상규명작업과 특별법 제정을 통한 명예회복과 위령사업, 적절한 보상조치가 취해져야 할 것이다. 그런 차원에서 집권 여당인 국민회의 4 3특위의 활동이 기대된다.
넷째, 미군정 아래에서 발생됐다는 점에서, 그리고 미군이 한국군의 작전통제권을 갖고 있던 상황에서 초토화 작전이 벌어졌다는 점에서 양민희생에 상당한 책임이 있는 미국은 비밀문서를 공개하는 등 진상규명작업에 적극 협조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역사적 의미로는 단선단정에 반대한 상징적 사건인 제주4 3이 조국통일운동의 하나로 재조명돼야 할 것이다.
제주 4 3의 진상규명 역사는 한국 현대사의 빛과 어둠을 그대로 투영하고 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20세기에 일어났던 중요사건의 하나로 제주4 3 특집기사를 다루면서 “4 3에 대한 재평가는 한국 중앙정부의 민주화와 정보공개의 수준에 비례하는 문제”라고 예리하게 지적한 바 있다. 김대중 ‘국민의 정부’가 진정한 민주정부라면, 그 동안 역대 정권이 비껴간 4 3문제를 당당하게 치유하는 것이 역사적 소명이요, 책무일 수밖에 없다.
참고 자료
김유경(2011), 제주4·3생존자의 트라우마와 미술치료적 접근, 영남대학교
부봉하(2006), 제주 4·3사건이 남긴 상처, 제주특별자치도
신복룡(2002), 제주 4·3 사건, 제주대학교평화연구소
양봉철(2008), 제주4·3과 ‘서북대대’, 제주4.3연구소
허상수(2000), 제주4·3사건해법 : 피해보상, 서울지방변호사회
한광덕(2005), 제주 4·3사건은 대한민국 건국 저지투쟁이었다, 자유민주민족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