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자원][환경][법률][산업]재활용의 종류, 재활용의 의의, 재활용의 효과, 재활용의 현황, 재활용의 법률, 재활용의 산업, 재활용의 사례, 재활용 관련 시사점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7.20
- 최종 저작일
- 2013.07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Ⅰ. 서론
Ⅱ. 재활용의 종류
1. 종이의 재활용
2. 플라스틱의 재활용
3. 유리병의 재활용
4. 캔의 재활용
Ⅲ. 재활용의 의의
Ⅳ. 재활용의 효과
1. 파지 재활용에 대하여
1) 태웠을 때
2) 주변에 굴러다닐 때
3) 파지 재활용률을 1% 높이면 절약되는 외화
4) 파지 1t(1000kg) 재활용하면
5) 우리나라 파지 원료 자급률
2. 폐 플라스틱 재활용에 대하여
1) 태웠을 때
2) 주변에 굴러다닐 때
3) 흙 속에 들어가면
4) 포장재 스티로폼 1t(1,000kg) 재활용
5) 폐 스티로폼 재활용률을 1% 높여서 아낄 수 있는 외화
3. 유리병 재활용에 대하여
1) 주변에 굴러다닐 때
2) 흙 속에 들어가면
3) 우리나라 유리병 재사용률
4) 재활용률
5) 파 유리 1t(1,000kg) 재활용
6) 폐 유리병 재활용률 1% 높여서 아낄 수 있는 외화
4. 고철/캔의 재활용에 대하여
1) 주변에 굴러다닐 때
2) 흙 속에 들어가면
3) 우리나라 한 해 사용되는 캔의 양
4) 금속 캔 재활용률
5) 우리나라 철강 소비량
6) 국내산 고철 사용량
Ⅴ. 재활용의 현황
Ⅵ. 재활용의 법률
Ⅶ. 재활용의 산업
1. 재활용가능자원의 구체적 종류
2. 재활용산업의 종류
Ⅷ. 재활용의 사례
1. 달걀 껍질로 병을 깨끗하게
2. 배수구에 스타킹을 씌워놓는다
3. 야채 부스러기로 싱크대를 닦는다
4. 밀가루로 주방기구를 닦는다
5. 우유팩과 신문지로 기름 뒤처리를 한다
6. 원두커피 찌꺼기
7. 쌀뜨물로 설거지를 한다
Ⅸ.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현재 구 서독 연방의 11개 주에서 연간 약 3,200만 톤의 쓰레기 및 산업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으며, 구 동독 연방의 5개 주의 폐기물을 포함하면 4,000만 톤을 초과한다. 대부분 주의 폐기물 처리장의 사용 한계는 2~5년 정도로 그 이후에는 쓰레기 소각장과 처분장에서 처리되지 못하는 쓰레기가 매년 1000만 톤씩 남게 된다. 이러한 폐기물 중에 포장재 폐기물이 점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 이는 분리된 쓰레기의 용적으로 50%, 중량으로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1991년 6월 12일 포장 폐기물 규제령은 제정?공포되었다. 동법의 규정에 의해 1991년 12월부터 이미 수송용 포장재의 회수?재리용 의무가 부과되었고, 1992년 4월에는 과잉 포장재(상품의 외포장)의 무료 회수 의무제가 발효되었다. 또한 1993년 1월에는 상품을 직접 포장한 것(예를 들면 치약 트뷰)과 소비자가 가정에 가지고 온 판매용 포장의 폐기물 규제도 시행되었다. 이들 세 가지 포장재에 대한 규제로 포장 폐기물의 회수율을 1995년 7월에 전 품목 80%의 목표를 올리고 리싸이클율도 64~72%까지 올리기로 결정하였다.
<중 략>
원두커피 찌꺼기를 거름종이에 그대로 잘 펴서 말린다. 그런 다음 가운데를 잘 오므려서 냉장고 속에 넣어두면 여느 탈취제 부럽지 않은 역할을 한다. 눅눅해지게 되면 말려서 재사용을 해도 끄떡없다. 또 하나, 기름기가 있는 그릇을 닦을 때 세제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깨끗이 닦이게 된다. 원두커피를 만들고 난 커피 찌꺼기를 재떨이에 얇게 깔아두면 재떨이에 담뱃불을 끌 때마다 커피 찌꺼기가 타면서 냄새 좋은 커피향이 모락모락 피어오른다. 또 커피 찌꺼기는 습기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담뱃불을 문질러가며 끄지 않아도 잘 꺼진다.
7. 쌀뜨물로 설거지를 한다
하천과 호수의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의 60%가 가정에서 나오는 생활하수라는 통계가 있는데 그 중 쌀뜨물은 버리는 양이나 빈도가 가장 많다고 한다. 예를 들어 2컵의 쌀을 씻을 때는 3리터의 물을 사용하고 흘려보낸다. 이렇게 오염된 물을 살리기 위해서는 최소한 1톤이나 되는 목욕탕을 채울 정도의 물이 필요하다. 쌀뜨물은 비료가 되므로 정원이나 화분 등에 주면 일거양득이다.
쌀을 씻어 낸 쌀뜨물은 시래기국을 끓이는 데도 쓰지만, 중성세재 대신으로 써도 좋다.
쌀뜨물은 큰 그릇에 받아둔다. 식후에 설거지할 때 쌀뜨물에 그릇을 잠시 담가두면 기름기가 제거되고 음식 찌꺼기 등도 불어 세제 없이 깨끗이 닦아질 뿐만 아니라 손에도 냄새가 배지 않아 좋다.
야채 삶은 물이나 마시다 남은 찻물, 먹다 남은 맥주 등도 쌀뜨물과 똑같은 효과로 사용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김은희(2007), 소비자의 재활용 태도 및 행동의 이해, 한국행정학회
김대환 외 2명(2010), 자원재활용 산업의 효율성 분석, 한국품질경영학회
박영원(2008), 재활용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공공관리학회
박일호(2005), 우리나라의 재활용 정책, 한국설비기술협회
유두련(2002), 재활용 행동 집단별 소비자특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
한주성(2004), 재활용 생활계 폐기물의 수거경로와 지역적 특성, 대한지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