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향가 개념][향가 특징][향가 범주][향가 형성][향가 발생][향가 용어]향가의 개념, 향가의 특징, 향가의 범주, 향가의 형성, 향가의 발생, 향가의 용어,향가의 해독
- 최초 등록일
- 2013.07.20
- 최종 저작일
- 2013.07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개요
Ⅱ. 향가의 개념
Ⅲ. 향가의 특징
Ⅳ. 향가의 범주
Ⅴ. 향가의 형성
Ⅵ. 향가의 발생
Ⅶ. 향가의 용어
Ⅷ. 향가의 해독
본문내용
통일신라시대는 왕에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불교를 신봉하여 불교문화가 찬란히 꽃핀 시기이다. 현전 향가 작가의 상당수가 승려이기 때문에 향가는 특징적으로 불교문학적 성격을 지닌다. 〈원왕생가〉(문무왕대, 661~681)는 서방정토(西方淨土)를 간절히 희구하는 기도의 노래이다. 불교적 신심(信心)에 바탕한 불교문학이지만 관념적이지 않고 달의 아름다움과 소원의 절실함이 잘 어우러져 서정성이 짙다. 〈도천수대비가〉(경덕왕대, 742~765)는 천수관음(千手觀音)에게 눈을 뜨게 하는 자비를 베풀어달라고 간절히 호소하는 기원가이다. 희명이 5세 때 눈먼 아들을 시켜 분황사 천수대비 화상 앞에 나가
<중 략>
조윤제의 이 같은 생각은 대체로 최근까지 받아들여져 왔다. 조동일은 그의 문학사에서, 향가가 노래를 지은 연대가 확실하고 노래를 짓게 된 동기도 분명하고도 납득할 수 있게 나타나 있어서 그 출현은 문학사적 전환의 중요한 국면을 이룬다고 전제한다. 그러면서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발생경위를 밝히고 있다.
굿노래를 부르며 주술을 행하던 전통 또한 새롭게 계승될 필요가 있었으며, 화랑제도가 창안되고 산천을 찾아 노래 부르고 춤을 추면서 수련을 일삼는 기풍이 고조되자 사뇌가의 출현을 보게 되었다. 또한 일반 백성의 민요도 나라에서 채택해 다듬을 수 있는 소재로만 존재하지
<중 략>
우리의 향가를 해독하는 데 있어서는 어려움이 많다. 그 이유는 순수한 한문이나 우리말이 아닌 향찰로 표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향찰을 해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원리들을 알아두어야 한다.
첫째, 향찰은 차자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차자 표기의 원리에 대해서 살펴보아야 한다.
둘째, 우리말로 향찰을 표기 할 때는 먼저 뜻을 가진 훈차자를 써 놓고 나중에 음을 첨가하는 훈주음종(訓主音從)의 원리에 따르고 있다.
셋째, 한자는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지고 있으나 향찰로 쓰였을 때는 언제 어디서나 한가지로만 읽어야 한다.
참고 자료
김완진 / 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학교 출팡부, 1980
류병윤 / 향가와 토속적 종교사상,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09
신재홍 / 향가와 의사소통, 한국어교육학회, 2008
최철 /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0
최철 / 향가의 본질과 시적 상상력, 새문사, 1983
홍기문 / 향가해석, 여강출판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