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1 – 불법음악 유통
불법음반 비율 47.7%(2005)
오프라인의 약 95%가 불법음반
2015년에는 9.7%로 축소될 전망
지적재산권에 대한 인식부족 – 불법 음악유통 만연
- 음반 판매량의 20~30배 이상
- 음반사 측도 단속에 적극적이지 않음. 홍보 수단
- 음반을 통해 가수를 홍보한 후 콘서트나 광고 등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에 집중
- 디지털유통 강세 – 뉴미디어를 통한 수익확대 전략
< 중 략 >
온라인 음악산업
- 인터넷산업의 신속한 발전과 인터넷의 편리함으로 인해 네티즌 형성
- 3G보급, 인터넷 환경 성숙, 각종 무선음악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화 등으로 온라인을 활용한 음악서비스 이용이 한결 보편화되고 편해졌다
- 인터넷 가수들이 등장 – 팡롱, 후양린 등
- 음악계의 ‘흑묘백묘론’의 인식 보편화
- 인터넷음악이든 기존의 레코드사에서 제작한 음악이든 경제이익에 부응하는 음악이 최고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