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 역사, 주거,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 무속신화,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와 고산족,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 제주도 구비서사시
- 최초 등록일
- 2013.07.18
- 최종 저작일
- 2013.07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개요
Ⅱ.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의 역사
Ⅲ.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의 주거
Ⅳ.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의 무속신화
Ⅴ.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와 고산족
1. 체질의 특성
1) 아이누족
2) 고산족
2. 인구
1) 아이누인
2) 고산족
Ⅵ.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의 구비서사시
Ⅶ.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와 제주도 구비서사시
1. 명칭
1) 본풀이
2) 유카르
2. 분화
1) 본풀이
2) 유카르
3. 전승 법칙
1) 본풀이
2) 유카르
4. 서술 방식
1) 본풀이
2) 유카르
5. 세계관
1) 본풀이
2) 유카르
6. 갈래
7. 의의
본문내용
악마의 출현, 그리고 천상도 지상도 아닌 새로운 공간인 지하의 출현 등, 이것들로 인하여 인간세계는 비로소 의미 있는 공간이 된다. 이제 신들이 사는 천궁이 아닌 인간세계가 악마의 탈취공간이 된 것이다. 탈취공간이 된다는 것, 그것은 그러한 세계에 산다는 것 자체가 매우 두려운 것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만큼 매력적인 공간이라는 뜻을 함축하는 것이기도 하다. 인간이 사는 세계, 그것이 얼마나 매력적인 공간이 될 수 있는가? 그것은 역설적이게도 악마 또는 악의 형상화라고 할 수 있는 존재에 의해 설명된다. 이는 아이누의 자료에서 분명하게 확인된다.
: 올빼미신의 누이신은 형 올빼미신에게 길러지고 있었지만
<중 략>
인구는 33만명 정도이며. 청나라 때는 중국 문화의 수용 정도에 따라 고유문화를 보유한 부족을 생만, 한족의 문화를 많이 받아들여 한화된 부족을 숙만이라 하였는데, 현재는 모두 숙만이라고 한다.
Ⅵ.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의 구비서사시
북해도에 거주하는 아이누민족의 서사시는 yukar라는 명칭으로 전승된다. 기존의 연구사에 유카르에 대한 견해가 통일되어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크게 보자면 유카르 자체를 셋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넷으로 볼 것인가 하는 견해의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아이누민족이 구어만 가지고 있었을 따름이고 독자적인 문자표현체계를 갖지 못했으므로
<중 략>
5. 세계관
1) 본풀이
천상세계, 산의 세계, 인간의 세계, 바다의 세계 ⇒ 다자간의 결합
2) 유카르
신의 세계, 특정한 신의 세계, 생명의 세계, 인간의 세계, 땅속의 세계 ⇒ 다양하게 실현
6. 갈래
<본풀이> <유카르>
조상신본풀이 카무이 유카르
당본풀이 오이나
일반본풀이 아이누 유카르
맛 유카르(메노코 유카르)
7. 의의
① 아이누 민족의 유카르는 전세계 구비서사시의 변천 단계를 범례로 갖춘 것이다.
② 제주도 본풀이와 아이누 서사시는 둘다 풍부하고 다채롭다.
③ 현존한다.
④ 제주도와 아이누 민족의 구비서사시는 갈등의 씨앗이 아니라 화합의 열매이다
참고 자료
가야노 시게루 저, 심우성 역, 아이누 민족의 비석, 동문선, 2007
갱과원장 저, 이경애 역, 아이누 신화, 역락, 2000
메리어트문인 동인회, 아이누의 슬픔, 정은문화사, 2002
박정임, 아이누민담 연구 강원대학교, 2009
조아라, 아이누 민족문화 관광실천의 공간정치, 국토지리학회, 2011
정태수, 불씨를 살려라 아이누여, 교학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