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가계수지][국제수지][무역수지][경상수지][여행수지][관광수지]가계수지, 국제수지, 무역수지, 경상수지, 여행수지(관광수지) 분석(가계수지, 국제수지, 무역수지, 수지)
- 최초 등록일
- 2013.07.15
- 최종 저작일
- 2013.07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가계수지
1. 소득분배 동향 및 소득 5분위별 가계수지
1) 소득분배 동향
2) 소득원천별 분포
3) 소비지출 구조
4) 흑자(율) 및 소비성향
2. 가구원수별 가계수지
1) 소득구조
2) 가계지출 규모
3) 소비지출 구조
Ⅱ. 국제수지
1. 국제수지의 정의
2. 정의에 대한 해석
1) 일정기간 동안의 의미
2) 일국의 거주자와 비거주자사이
3) 모든 경제적 거래
Ⅲ. 무역수지
1. 무역수지의 변화추이
2. 우리 경제의 무역의존도
3. 세계 무역에서의 우리나라의 위치
Ⅳ. 경상수지
1. 경상수지 적자의 경제적 의미
2. 경상수지 적자의 원인분석
1) 거시경제적 요인
2) 산업적 요인
Ⅴ. 여행수지(관광수지)
본문내용
1. 무역수지의 변화추이
수출은 1,504억불로 전년대비 12.7% 감소하고, 수입은 1,411억불로 12.1% 감소하여 무역수지는 93억불의 흑자를 기록하였다. 이에 따라 이후 4년 연속 무역흑자를 기록하였으며, 특히 국민의 정부 4년간 누계흑자는 840억불로서 누적적자 867억불과 거의 비슷한 규모를 기록하였다.
2. 우리 경제의 무역의존도
우리 경제의 무역의존도(수출입액/경상GNP)는 48.1%를 저점으로 상승추세를 지속하면서 최근에는 72.7%를 기록하였다.
3. 세계 무역에서의 우리나라의 위치
우리나라의 세계 수출 중 비중은 전년대비 0.1%포인트가 상승하였으며, 수입은 0.4%포인트 상승하였다. 이에 따라 수․출입을 합한 교역액 기준으로는 전년대비 0.3%포인트 상승한 2.6%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교역액 순위는 13위를 유지하였으나, 수입액 순위는 전년보다 한 계단 상승하였다.(수출 12위, 수입 13위)
Ⅳ. 경상수지
1. 경상수지 적자의 경제적 의미
- 경상수지 적자는 궁극적으로 국가경제에 있어서의 총투자와 국내저축간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임. 국내저축을 초과하는 투자가 이루어질 경우 부족한 투자재원을 해외로부터 조달하는 과정에서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
- 경상수지 적자가 단기적으로는 국가경제의 대외불균형을 의미하는 측면도 있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확충하기 위한 자본축적 과정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음. 따라서 투자기회가 많이 남아 있고 성장잠재력이 높은 경제의 경우 일정 수준의 경상수지 적자를 시현하는 것이 오히려 정상적이라고 할 수 있음. 특히 우리 경제의 경우 세계적으로 높은 국내저축률에도 불구하고 투자가 더욱 활발함에 따라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하고 있어 내용면에서는 건실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경상수지 적자를 무리하게 축소하거나 경상수지 흑자를 달성하려는 정책적 노력은 득보다 실이 클 수도 있음.
참고 자료
반정호(2012), 가계수지 동향, 한국노동연구원
이민환(2011), 한국 무역수지에 대한 환율의 동태적 효과 분석, 한국국제경제학회
이영수(2012), 실질환율-경상수지의 동학과 구조변화, 한국경제통상학회
정병우 외 1명(2000), 우리나라 여행수지의 구조와 변동요인 분석, 경성대학교
지봉구 외 2명(2009), 정보유형에 따른 여행수지의 변동성 여행수입과 여행지출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한국은행(2010), 국제수지와 환율, 현대사회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