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바일 기기의 비접촉식 Touch Screen 개요1.1. 비접촉식 Touch Screen의 등장배경
1.2. 비접촉식 Touch Screen이란?
1.3 근접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Touch Screen
1.3.1. 정의
1.3.2. 종류
2. IR 방식의 비접촉 Touch 방식
2.1. Front illumination Unit
2.2. IR Image Sensor Panel
2.3. Touch 와 Hovering 이미지 비교
2.4. 문제점 및 해결방안
3. 특허
4. 마 무 리
4.1. 터치스크린 패널 시장 동향
4.2. 비접촉식 touch screen의 향후 가능성 및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1 비접촉식 Touch Screen의 등장배경스마트폰의 성능이 발달하고, 보급이 증가하면서 기존 기기들의 다양한 기능들이 스마트폰 하나에 집적되고 있다. 스마트폰에 집적되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의 증가에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한 입력 수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입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센서들이 스마트 폰에 다양하게 적용되었다. 초기에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방위를 알아내기 위한 용도의 자계 센서 정도를 내장하였지만, 최근에는 이것들 외에도 자이로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추가되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반영하기 위한 스마트폰 센서 정보기반 제스처 인식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한 이러한 모션 제스처 인식 방법은 게임 조작, 화면의 확대, 축소와 같은 특정 상황이나 환경에 매우 적합하다.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입력으로서의 센서 모션 제스처 인식은 작은 화면을 가지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큰 장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마다 자신만의 모션 제스처를 등록하여 사용함으로써 보안이나 활용적인 측면에서도 장점을 지니고 있다.
<중 략>
2.4 문제점 및 한계
➀ 실리콘 막
광통신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 과정중의 하나로 광수신부와 Cable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IR 광과 실리콘 layer 사이의 공기나 접촉면 등에 의해 광신호의 왜곡, 손실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결국 z축 상의 디스플레이와의 거리인식에서의 오차를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이 된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실리콘 중에는 굴절률이 1.4인 저굴절률 제품들이 있다(2013.01.28 네페드신소재) 굴절률이 낮아야 빛의 실리콘을 통과해도 왜곡이 적고 밝기가 유지된다. (광통신 공학 부분의 식 인용할 것)
➁ 전력소모
3D Touch는 기본적으로 전력소모가 많이 들어가는 기술이다. 최근 출시된 팬택(2013.2.8 출시) 의 베가 스마트폰을 살펴보면 이미지센서로 동작을 인식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센서를 상시적으로 돌려야 하기 때문에 전력소모량이 상당히 많다. 따라서 여러 회사에서 전력소모를 줄이는 저전력 Sensing 칩셋을 만드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참고 자료
권혁빈 외 2명,“Design of a CMOS Image Sensor Based on a Low Power Single-Slope ADC“서성주 외 5명, “Mobile LCD Device with Tran sparent Infrared Image Sensor Panel for Touch and Hover ensing,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한상윤 외 5명 “Optical Properties of a-SiGe:H Thin Film Transistor for Infrared Image Sensors in Touch Sensing Display“,JOURNAL OF DISPLAY TECHNOLOGY, VOL. 8, NO. 10, OCTOBER 2012
Allen Hairston외 2명, “Advanced Readout Integrated Circuit Signal Processing, BAE Systems Electronics & Integrated Solutions Lexington
Aure´ lie Cohe 외 1명, “Beyond the mouse: Understanding user gestures for manipulating 3D objects from touchscreen inputs”
Hesham H. Gaber외 2명, “Hexagonal Shaped Microcantilever Based IR Imaging Sensor”, Electronics & Communication Engineer College
James W. Beletic, “Teledyne Imaging Sensors: Infrared imaging technologies for Astronomy & Civil Space”,Teledyne Imaging Sensors
Rogalski,“HgCdTe infrared detector material: history, status and outlook”,Military University of Technology
Shun Kawada,A Wide Dynamic Range Checkered-Color CMOS Image Sensorwith IR-Cut RGB and Visible-to-Near-IR Pixels,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Tohoku University
http://gadgets.boingboing.net/2009/02/13/impress-a-smooshy-3d.html(3D touchscreen by Silke Hilsing)
http://www.electronics-tutorials.ws/io/io_2.html (electromagnetic proximity sensor)
http://pds25.egloos.com/pds/201305/16/01/IPS.pdf (근접센서의 종류와 원리)
http://cafe.naver.com/circuitsmanual/11173(적외선 센서의 종류)
http://www.semiwiki.com/forum/content/2085-image-sensor-design-ir-senseeker.html(Image Sensor Design for IR at Sensee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