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송은 300년간 외침을 받아 정치, 외교, 군사등에서는 큰 업적을 남기지 못하였으나 문화면에서는 당에 비견될만한 시대를 엮기도 하였고 문학, 유학, 종교등에 있어서는 한국과 일본에 커다란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문학면에서는 문장가로서 구양수, 소식, 왕안석이 시인으로는 구양수, 소식, 황정견 등이 있다. 유학은 불교와 도교의 영향을 받아 정신이나 철리(哲理)를 생각하고 우주와 인생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주돈이, 정이를 거쳐 남송의 주희가 대성하였는데 이것은 송학, 도학, 주자학으로 불리워졌다. 불교는 선종으로 발전되었고 도교는 도학박사를 두어 도사를 양성하기도 하였다.
휘종은 예술적인면에 자질이 있었는데 회화를 좋아하고 글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산수화나 화조화에 매료되었고 자신 또한 화조화를 잘그려 화원을 세워 후진을 양성하였다. 그 결과 원화(院畵)라는 일파가 생기기도 하였는데 문화 역사상 그가 남긴 업적은 중국 제왕중 가장 컸다. 조경에 있어서 북송은 주로 명산이나 호수를 모방하는 수법을 사용하였다.
<중 략>
◆ 서방사경원(西芳寺景園)
서방사경원은 임제종선사 경내에 있고 경원에는 10여종의 이끼류가 지표면을 덮고 있어 태사(苔寺)라고도 하며 가마꾸라시대의 초기에 이룬 고산수지천회유식으로 면적은 약 17,000㎡에 이른다. 사찰은 원래 정토종에 속한 것이었으나 몽창국사가 입산한뒤 선종사찰로 바뀌었다. 경원은 상, 하 두 부분으로 크게 나뉘어지며 아래편은 옛날에 서방교원의 터로서 해안풍의 지안천을 갖춘 황금지를 중심으로 한 경원이 있다. <心>자형을 갖춘 황금지는 배를 띄울 수 있는 회유식 형태로서 못안에는 3개의 섬이 있고 요월교라는 지붕이 있는 다리도 있다. 황금지의 본당의 방장 사이에는 소지가 있는데 여기에는 야박석(夜泊石) 여러 덩이가 놓여 있다. 이것은 정토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항구에 배가 정박하여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인데 입항, 출항의 모습은 보물을 찾아 나갈떄와 싣고 들어올때의 모습을 상징한 것으로 금각사의 지원에서도 볼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