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세페이드의 주기-광도 관계
변광성이 모두 거의 같은 거리에 있다면 주기-광도 관계가 주기-겉보기 등급과 관계가 됨(리비트)
새플리는 P-L관계의 눈금을 결정함으로써 그 관계를 쓸모 있게 만들었고 우리 은하의 크기와 형태를 조사하는데 이용
⑵ 최선의 현대 거리 결정법
외부 은하의 연구에 쓰일 천체들이 가져야 할 특성
㉠ 먼 거리에서도 볼 수 있도록 받을 것
㉡ 소속하는 은하 안의 수 많은 별의 배경에서 쉽게 구별될 것
㉢ 소속하는 은하에 무관한 특성의 ‘표준촉광’으로 믿을만한 눈금 교정이 가능할 것
㉣ 천체의 특성에서 기인되는 거리의 편차가 작을 것
① 세페이드 변광성
세페이드의 P-L관계를 관측하고 그 물리적 근거로 변광 주기를 관측해서 그 절대 등급을 알아냄, 알아낸 절대 등급과 세페이드 변광성이 속해 있는 거리 지수를 이용하여 그 은하의 거리를 결정
변광성을 자세히 조사해보면 H-R도 위의 세페이드 불안정띠가 실제는 폭을 가진 띠가 되므로 P와 L은 서로 정확한 함수가 아님
이 별들의 진화경로는 거의 수평으로 경로를 급속히 별의 밝기 따라 다른 속도로 지나가기 때문에 불안정띠가 고르게 메워지지 않는다.
관측에 의하면 이 구역이 위가 아래보다 굵은 쐐기와 흡사함
이런 점을 고려해서 P-L관계가 아니라 P-L-C관계로 확대하여 색지수항을 추가하여 수정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