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문화정책의 개념과 정치적 행위
1) 문화정책의 개념
2) 문화정책의 정치적 행위
3. 문화예술 발전의 전제로서 법과 정책의 관계
1) 문화정책과 관련된 법률
2) 문화정책과 법률의 관계
4.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노력
본문내용
1. 머리말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는 말이 거론된 지도 오래 지났다. 이제 문화가 경영의 기본틀인 목표설정, 계획수립, 조직화의 과정을 통해 문화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문화는 단순한 소프트파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가사회의 다양한 영역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면서 정책의 주변부가 아닌 핵심영역으로 등장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문화정책과 관련된 내용은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이는 정책입안자의 행정적인 관점이나 각 시대별 문화정책의 주체와 대상 영역 그리고 유네스코가 규정하는 문화정책의 범위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어떻든 문화정책에 관한 연구는 문화정책이라는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설명과 예측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문화가 사람들의 삶에서 중요한 가치를 갖게 되고 공공정책에서 문화정책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정책가치를 실현하고 이를 통해 사회의 질을 향상시키며 문화활동을 확산하는 데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자원을 동원하고 배분하는 일이 중요해지며 창조환경의 정비, 기업역량의 동원, 산업적 문화자원의 활용이 이루어진다고 하겠다.
따라서 문화예술을 발전을 위해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정부나 공공단체의 문화정책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이러한 문화정책을 집행하는 데는 법률적인 요소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문화정책과 문화 관련 법률과의 관계에 따라 수행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는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정책과 법률의 관계를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정책과 법률 등이 문화예술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다.
2. 문화정책의 개념과 정치적 행위
1) 문화정책의 개념
문화정책에 대한 개념 정의는 다른 용어의 개념처럼 다양하다. 우선 문화정책이란 문화와 정책을 합친 말로 문화라는 목적을 정책이라는 수단으로 엮어내는 공공성을 가진 활동을 말한다. 또 이병량(2004)에 따르면 정갑영은 “국가단위가 추구하는 문화에 대한 이상적 목표를 국가 개입을 통하여 수행하는 과정”으로 설명하고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은 “문화와 관련된 공적목적(공익)의 달성을 위한 행동지침”과 같이 매우 광범위하게 정의했다. 반대로 임학순은 “정부 등 공공기관이 예술을 발전시키고 국민들의 예술복지 수준을 높이기 위해 예술부문에 개입하는 일련의 행위 및 상호작용”과 같이 그 대상을 예술부문에 국한하여 정의했다.
참고 자료
김창규(2008), “문화시장 활성화와 법제 개선 방향”, 문화정책논총 20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p.64~83.
머니투데이, “최고은 작가 요절, ‘예술인 복지법’ 탄력받나”, http://www.mt.co.kr/ 2011.2.9.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1), 2010문화예술정책백서,
박광무(2010), 한국문화정책론, 김영사,
베르너 하인리히스(1999), 컬처매니지먼트, 김화임 역(2003), 인디북,
여성신문, “예술인복지법 시행 초읽기 ‘알맹이 없는 부실한 법’”, http://www.womennews.co.kr/ 2012.9.21.
이병량(2004), “한국 문화정책의 변화 추이와 내용에 관한 분석: 문화예산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8권 3호, 한국정책과학학회, pp.99~125.
이병량(2011), “문화정책과 공공성”,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8권 3호, 한국거버넌스학회, pp.119~146.
이준형(2007), “참여정부의 문화법제의 변화와 그 평가”, 문화정책논총 제19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p.69~88.
전택수(2002), “정보통신혁명에 따른 인문학ㆍ문화예술과 문화산업의 상호 발전에 대한 논고”, 정신문화연구 89호, 한국학중앙연구원, pp.21~43.
정광렬(2009), “문화정책 연구의 정체성과 과제”, 문화정책논총 21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p.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