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국 외교정책][구소련, 러시아의 외교정책]
- 최초 등록일
- 2013.06.30
- 최종 저작일
- 2011.10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구소련과 러시아의 외교정책에 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구소련 외교정책의 특징
1. 구소련 외교의 전개
2. 구소련 외교의 목적
3. 구소련 외교의 특징
4. 구소련과 러시아의 외교정책 차이
Ⅱ. 러시아 외교정책 개관
1. 러시아외교의 역사적 유산과 환경
2. 러시아 외교의 지전략적 목표와 전개
3. 21세기 러시아의 외교와 한반도
Ⅲ. 맺음말
1. 메드베데프 집권기 러시아의 대외정책
2. 메드베데프 이후의 러시아
본문내용
Ⅰ. 구소련 외교정책의 특징
구소련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줄여서 소련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했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다. 1917년 3월 8일에 일어난 러시아 2월 혁명은 러시아 제국을 멸망시켰으며, 혁명 이후 수립된 러시아 임시 정부는 1917년 11월 7일에 일어난 10월 혁명으로 붕괴되었고 볼셰비키가 러시아의 정권을 잡았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혁명에 반대하는 백군이 반란을 일으켜 러시아 내전이 일어났지만 볼셰비키는 백군을 몰아내고 내전에서 승리했으며 1922년 12월 30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자카프카스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통합되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 탄생하였다.
<중 략>
북한에 대한 경제 지원과 협력이 확대되면서 러시아의 한반도 문제에 대한 개입과 관심의 수준이 한 단계 올라가게 될 것이며, 러시아가 주도하여 경제 협력의 구체적인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북한의 나진, 선봉을 중심으로 동북부 지역에 대한 철도, 물류 분야의 협력, 북한 공장에 대한 개보수 사업 지원, 식량 및 전기 지원등을 통해 북한과의 적극적인 경제 협력틀을 만들어 나가려는 구상이 입안되고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러시아의 대북 접근의 의도는 무엇인가? 첫째, 북한과의 협력을 통해 동북아 주변국과의 지역적 경제협력틀을 강화함으로써 러시아의 극동, 시베리아의 개발의 동력을 확보한다는 국내정치적 고려가 있으며, 둘째,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의 확보를 통하여 중국과 미국의 한반도를 둘러싼 각축에서 중재자 및 균형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고, 셋째, 북한 유사시에 러시아의 자산에 대한 보호를 명목으로 특정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구실을 만드는 등의 다중적 계산이 깔려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러시아는 한국의 북한에 대한 개입정책을 유지하는 것이 향후 중, 장기적으로 북한을 변화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한국의 대북 포용정책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