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서론
유즙류는 포유동물의 유선에서 합성되어 어린 동물의 생명유지와 발육을 위해 분비되는 백색 내지 담황색의 불투명한 액체이다. 유즙류에는 우유, 산양유, 물소유, 마유, 낙타유 등이 있으나 우유가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버터, 치즈, 분유 등 각종 유제품의 제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우유가 언제부터 우리 인류와 가까워졌는지는 정확히 추정할 수 없으나 인도에서는 약 6000년 전에 소를 길렀으며 사람들이 소의 젖을 마시고 식품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바빌로니아에서는 기원 전 2000년경에 암소를 숭배하였으며, 이집트에서는 풍요의 여신으로 숭배하였다고 하는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사기, 고려사, 이조실록 등에 약용이나 보약으로 한우의 젖을 이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예로부터 귀하고 중요한 식품으로 인식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중 략>
5) 포스파타아제 시험 (Phosphatase test)
우유 중 인산 에스테르(ester) 및 폴리인산의 가수분해를 촉매하는 효소를 총칭하여 포스타파아제라 하는데 이 효소는 62.8℃ 30분 또는 71-75℃ 15-30초의 가열에 의해서 파괴되므로 저온살균처리 여부와 생유 혼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포스파타아제 시험이 실시됩니다.
6) 비중 검사 (lactometer test)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성분별로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조성분의 변화에 따라 비중이 달라지게 된다. 모든 조성분이 들어 있는 우유의 비중은 15℃에서 1.027∼1.034로 평균 1.032이며, 지방을 제거한 탈지유는 1.032∼1.036으로 평균 1.034 이다. 이와 같이 조성분의 함량 변화에 따라 비중이 변하므로, 비중을 측정하면 유지방이 많고 적음과 정상유인지 아닌지를 어느 정도 판별할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