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지식경영 수준 평가 모델
Ⅳ. 연구방법론
Ⅴ. 사례분석
Ⅵ. 결 론
본문내용
산업사회에서 정보지식사회로의 급속한 변화는 기존의 경영 패러다임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경영환경이 구축됨으로써 국가간 기업간 정보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이로 인해 기업 및 조직의 수용 가능한 정보는 포화상태를 넘어섰으며, 이러한 경영환경의 글로벌, 조직화로 인해 기업들은 무한경쟁체제로 돌입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산업사회의 지배적인 자원이라고 여겨졌던 생산 요소인 자본, 토지, 노동의 개념도 변화하고 있다. 생산요소에 대한 개념은 이제 지식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교수가 언급한 대로 '지식‘이 정보지식사회의 가장 중요한 자원이자 지식의 생산성이 생산, 경쟁력 확보, 경제적 목표달성에 핵심 열쇠가 되는 것이다.
즉, 산업사회에서 천연자원이나 노동, 자본 등의 생산요소가 없는 국가 및 기업이 발전을 이루지 못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앞으로 지식사회에서 지식이 없는 국가 및 기업은 경쟁력의 우위를 점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조직과 그 구성원들 속에 내재해 있는 지식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기업 전체 차원의 자산으로 구체화시켜 정보 기술 등을 이용해 관리, 공유, 활용하는 지식경영(Nonaka & Takeuchi, 1995)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대두하게 되었다.
그러나 과거의 재무적인 평가 지표가 경영 지표로서의 유효성이 의심받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비재무적인 평가 지표의 필요성이 기업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재무 지표 중심의 평가 체계는 15세기 복식 회계법이 창안된 이래로 기법상의 개선을 거치면서 기업 성과를 평가하는데 확고한 지위를 얻었으나 기업의 경영자들이 현재와 미래 가치(비재무적 가치)의 지침보다는 과거의 의사 결정 결과에 불과한 재무제표에 안주해서 경영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기업의 장부상 가치와 주식 가치간의 상관 계수가 과거 20년 동안에는 높았으나, 90년대에 들어서면서 현저하게 낮아짐에 따라 지적자산 측정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지식경영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방법론에 관한 연구와 지적자산 측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지식경영 성과와 현황을 측정하는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Kaplan & Norton, 1996; 김명순■이영덕, 2001).
참고 자료
1. 김명순, 이영덕, “지적자산의 측정: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사례연구”, 경영학연구, 제30권 제3호, 2001, pp.765-796.
2. 김인수, “지식경영 : 학문적 연계성”, 경영학연구, 제28권, 제3호, 1999, pp.567-588.
3. 변정주, 지식경영 수준 진단 평가 모델, http://www.aak.co.kr, 2001.
4. 애니 브루킹, 김광영 역, 지식자본의 출현, 지식자본, 사람과 책, 1997.
5. 이건창, “지식경영의 전략프레임워크 : 사례중심의 관점으로”, 성균관대학교 경영연구소 & 삼성경제연구소 제1회 지식경영심포지엄, 1999, pp.27-50.
6. 이범홍, 한인구, “지적자본의 가치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제1회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엄자료집, 매일경제신문사, 1998, pp.107-128.
7. 이순철, 사례로 본 지식경영의 이해, 삼성경제연구소, 1999.
8. 이춘경, 정기호, “Kalman Filter를 이용한 무형자산가치 측정”, 제2회 지식경영 학술심포 지엄 논문집, 매일경제신문사, 1999, pp.113-140.
9. 포스코 경영연구소, 지식사회, 지식경영으로, 한국경제를 위한 제안 : 지식경영, 더난출판사, 1998, pp.49-99.
10. 피터 드러커, 현대경제연구원 역, 지식경영, 21세기북스,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