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분류학 실험 레포트 - 피자식물 Angiosperm 의 관찰
- 최초 등록일
- 2013.06.10
- 최종 저작일
- 2007.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식물분류학 실험 레포트 - 피자식물의 관찰
진달래과 Rhododendron 오월철쭉hododendron indicum (L.) Sweet Maximowicz
국화과 뽀리뱅이Youngia japonica (L.) DC.
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3.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6. References
본문내용
1. Introduction
(1)피자식물(속씨식물, Angiosperm)
: 이는 식물군의 하나로서 대부분 씨방 속에 씨가 들어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개화식물, 꽃식물, 꽃피는 식물, 속씨식물 등으로도 불린다. 오늘날 피자식물은 무려 23만 5000여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식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숫자이다. 이와 같은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피자식물은 단지 두 개의 강으로 나뉘는데,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ae)과 외떡잎식물강(Monocotyledonae)이 그것이다.
이 두 개의 강은 진화 계통이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서 외떡잎식물이 쌍떡잎식물에서 진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쌍떡잎식물이 보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쌍떡잎식물은 17만종, 약 10개의 과로 이루어져 있고 목력, 떡갈나무, 단풍, 양배추, 감자, 장미, 사과, 아카시아, 민들레 등이 있다.
반면 외떡잎 식물은 불과 6만 5000여종으로 4개의 과만 존재하며 백합, 호밀, 밀, 옥수수, 사탕수수, 난초등이 속한다.
<중 략>
이 때, 본래 잎이 유지되면서 총생한 잎들의 안쪽들의 새 잎이 나면서 반상록의 특징을 나타내는 점이나 잎이 약간 두껍고 광택을 내며 꽃자루 쪽으로 갈색털이 보이는 점 등을 고려하면 오월철쭉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잎의 뒷면 가장 자리에 털이 나 있는 점이나 어린가지 표면의 갈색 털등의 특징이 흰참꽃과 일치하기는 하지만 오월철쭉 또한 잎 표면으로 눌린 털이 발견되며 가지 표면의 갈색 털이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는 다는 점점 등을 고려해보면 흰 참꽃보다는 오월철쭉에 가까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흰참꽃은 꽃자루에 흰색털이 나는데 우리가 관찰한 식물은 갈색털이 났으므로 흰참꽃 종이 아니라고 잠정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흰참꽃의 서식환경-고지대의 바위틈새-과 오월철쭉의 서식환경-흔한 관상용-을 비교해보면 최종적으로 오월철쭉hododendron indicum (L.) Sweet Maximowicz으로 결론내릴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