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달동안 만든것이구요...당연히 A+받은 과목입니다..교수님께 잘했다고 칭찬도 받았구요..
많은 도움이 되었음 합니다..^^
목차
I. 들어가며Ⅱ. IMF 관리 경제체제 무엇인가?
1. IMF(국제통화기금)란
2. IMF 구제금융이란 무엇인가
3. IMF의 구제금융 지원 배경
Ⅲ. 본론
1. IMF 원인
2. IMF 체제 하에서의 경제상황
3. 경제위기로 인한 가정내의 변화
1) 가정 경제적인 면
2) 결혼과 생활
3)가족내의 변화
Ⅳ. 나가며
본문내용
1997년 11월의 한국의 외환위기는 한국경제의 근간을 송두리째 뒤흔들어 놓은 사건이었다. 한국에서 발생한 경제위기는 경기침체, 경상수지 적자 등 실물경제의 악화뿐만 아니라 동남아 외환위기, 국제 금융자본의 신흥시장 이탈 등 대외적인 환경요인, 그리고 정부의 위기관리 능력 부족과 국민의 거품 소비 등 총체적인 요인의 결정체였다. 그리고 한국은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IMF를 선택했고 한국 국민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IMF식 처방을 수용하게 되었다. IMF 체제와 함께 불어닥친 경제 위기는 곧바로 우리의 가정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뉴스나 신문에서는 연일 크고 작은 기업들의 부도사태가 터져 나오고 각 기업의 구조조정과 인원감축으로 인해 우리의 아버지들은 길거리로, 공원으로 내몰려 졌다. 그로 인해 많은 가정이 해체되고 피해를 입었으며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은 일자리를 찾을 수 없어 나날이 한숨지었다. 그리고 하루하루 올라가는 환율과 물가상승은 우리 어머니들의 주름살을 하나둘 더 늘게 했으며 무엇인지 조차 잘 모르는 어린아이들조차 IMF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살 정도로 심각한 혼란기였다.5년이 지난 지금, 한국인들에게 아픈 기억을 떠올리게 했던 IMF라는 말은 이제 서서히 잊혀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IMF 체제가 우리 사회 전반에 큰 변화를 초래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외환위기는 금융불안으로 이어졌고 이것은 실물경제로 그 영향이 파급되었으며, 실업 등을 통해 개인생활에도 본격적으로 파급되었다. 이에 본 조에서는 한국경제에 이러한 영향을 준 IMF는 어떠한 존재인지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본 뒤, IMF가 가정경제를 중심으로 우리의 생활양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참고 자료
※「IMF 경제위기, 실직위험 그리고 삶의 질」,김영기· 박재규, 나눔의 집, 2001※「韓國의 중산층 위기와 가족해체」-그 원인과 대책 모색 ,한국사회문화연구원,1999
※「실업에 따른 가족생활 및 여성의 역할변화에 관한 연구」
,장혜경·김영란, 한국여성개발원,1999
※곽인숙, 「경제적 위기가 가정생활에 미찬 영향: IMF관리체제 전후 비교」『한국가정관리 학학회』제 17권 1호 (1999년 3월)
※두경자, 「IMF 관리 이전,이후의 가계소비수준 회복정도와 영향변인」『한국가정관리학학회』제17권4호 (199년 12월)
※삼성경제연구소 편, 『IMF충격, 그 이후』(삼성경제 연구소,1998).
※한국소비자보호원, 『IMF체제 전후의 소비의식 및 행태 보고서』(한국소비자보호원,1999.9)
※서종규(1998), IMF 관리체제의 전개과정과 주요 내용에 대한 고찰, 생산성논집 12호 2집
※정운찬(1999), 한국경제 아직도 멀었다. 서울, 나무와 숲
※변형윤 외(2001), IMF 체제와 한국산업경제. 광주과학기술원
※황경숙(2000), IMF 사태와 한국사회변화, 시민교육연구 제 30집
<인용사이트>
※디지틀 조선일보 [위기는이렇게왔다.]
→ http://monthly.chosun.com/html/199911/199911110008_1.html
※http://soc.korea.ac.kr/data/k6.hwp
※http://www.buddhapia.com/mem/hyundae/auto/newspaper/177/w-6.htm
※http://www.classmaker.com/dink '딩크 부부를 위한 공간'
※http://www.hani.co.kr/ 인터넷 한계레 신문
※http://www.usjob.co.kr/guide
※http://www.donga.com/docs/magazine/news_plus/news172/np172bb010.html